[하노이에서] 미북정상, 2차 비핵화 담판 결렬…트럼프 “전면적 제재해제 불가”

0:00 / 0:00

앵커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차 미북 정상회담 공동합의문 채택에 실패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전면적인 대북제재 해제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2차 미북 정상회담이 열린 베트남 하노이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베트남, 윁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미북 정상회담이 28일 공동합의문 없이 결렬됐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2차 미북 정상회담이 종료된 직후 자신의 숙소인 JW메리어트 호텔에서 가진 기자설명회에서 “북한이 전면적인 대북제재 해제를 요구했다”며 이를 수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 이번 회담의 결렬 이유는 바로 제재 때문입니다. 북한은 완전한 제재 해제를 원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은 그 요구를 들어줄 수 없었습니다. 북한은 핵 프로그램의 상당수를 비핵화할 준비가 돼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미국이 전면적인 해제를 할 수 없었습니다.

특히 “비핵화 협상을 제대로 하고 싶다”는 말도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영변 핵시설이 대규모 시설인 것은 분명하지만 이것의 해체만으로는 미국이 원하는 모든 비핵화가 아니라고 판단했다”며 “김 위원장은 영변 핵시설 폐기에 동의했지만 미국은 더 많은 추가적인 비핵화가 필요했다”고 말했습니다.

고농축우라늄 시설, 혹은 기타 핵관련 시설 해체를 북한에 추가로 요구했다는 겁니다. 하지만 미국의 이같은 요구에 북한은 응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은 추가적인 비핵화 조치를 할 준비가 안 돼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은 북한에 핵 관련 목록의 신고도 이번 회담을 통해 요구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기자설명회에 참석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미국은 북한 비핵화 일정표와 순서가 있으며 북한에는 미사일 시설, 핵탄두 무기 등이 남아 있다”면서 “북한과 여러가지 요소에 대해 합의를 이루지 못했는데 핵목록 신고도 마찬가지”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북한 핵시설에 대한 사찰은 가능할 것 같다는 입장은 드러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북한 핵시설 사찰을 위한 준비가 돼 있고 가능하다고 말하고 싶다”며 “아직 일정표를 정한 것은 없지만 미국은 북한 내 핵 시설 등의 소재를 이미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적인 사찰이 이뤄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미북이 합의를 이루지 못한 것과 관련해 상호 마찰이 있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북한과 대단히 우호적이었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발언의 문제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라며 “우리는 지금 외교 사상 가장 어려운 문구를 주고받고 있는데 김 위원장과는 어느 때보다 어려운 문구를 교환하면서도 우호적이었다”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 김정은 위원장이 27일 밤 나에게 약속한 것 중 하나는 앞으로 미사일, 핵실험을 하지 않겠다고 한 겁니다. 저는 김 위원장을 신뢰하고 그의 말을 믿습니다. 그것이 사실이길 희망합니다.

이번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억류된 뒤 사망한 오토 웜비어 씨의 사례를 들며 김 위원장에게 북한 인권 문제도 언급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김 위원장의 지시로 웜비어 씨의 억류 사태가 벌어진 것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은 나에게 오토 웜비어 씨의 사건에 대해 몰랐다고 말했다”며 “다만 북한의 수용소는 굉장히 힘든 곳이고 안 좋은 일이 발생할 수 있는 곳으로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3차 미북 정상회담 일정에 대해서는 아직 정해진 것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향후 김정은 위원장과의 회담 일정이 있냐는 질문에 “없다”고 답했습니다.

백악관도 회담 종료 직후 내놓은 입장 자료를 통해 “현 시점에서는 미북 간의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지만 양측은 향후의 만남을 기대하고 있다”면서 “미북은 비핵화를 진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과 북한의 경제 발전을 위한 논의를 했다”고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이날 베트남 현지시간으로 1시 25분쯤 회담장인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하노이 호텔을 빠져나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북 정상회담 결과를 설명하는 기자설명회에 참석한 직후 미국으로 돌아갔습니다.

반면 김정은 위원장은 오는 2일까지 베트남 방문 일정이 예정돼 있습니다.

2차 미북 정상회담이 열린 베트남 하노이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목용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