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전 고위관리 “북핵 해결 위해 제재와 인권제기 병행해야”

0:00 / 0:00

앵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비자금을 관리했던 전 북한 고위 관리가 북한 핵·미사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더 강력한 제재 뿐만 아니라 북한의 인권 문제 제기를 병행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노동당 '39호실'에서 30여 년간 일하다가 미국으로 망명한 리정호 씨는 14일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와 고위급 대표단 방남을 통한 남북정상회담 초청은 북한이 위기 상황을 모면하려는 위장 전술일 뿐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김정은은 초강력 대북제재와 군사적 압박, 외교적 고립으로 사면초가의 위기에 처해있으며, 심각한 궁지에 빠져서 허덕이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리정호: 북한이 주장하는 대로 제재에도 끄덕없이 살아간다는 것은 100% 거짓입니다. 이 때문에 북한이 평창올림픽에 참가하고, 정상회담을 시도하는 것은 위기를 탈출하고 자기들 상황을 호전시키려고 하는 고도의 위장전술입니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 문제 해결책으로 강력한 대북 제재 뿐만 아니라 주민들에 대한 참혹한 인권 유린을 일삼는 북한 정권에 대한 문제 제기를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리정호 씨는 14일 한미연구소(ICAS)가 미국 워싱턴 우드로윌슨센터에서 개최한 '김정은의 국가 대전략과 궁극적인 목표'(Kim Jong Un's Grand Strategy and His Ultimate Goal) 관련 행사에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리정호: 트럼프 대통령이 대북제재와 함께 인권문제를 새로운 카드로 제시해서 두 가지 전략으로 북핵 문제를 온전히 해결하려는 전략적 의도를 밝힌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어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탈북민들을 만난 사실은 북한 주민들에게 희망을 주는 것일 뿐만 아니라, 김 위원장과 같은 독재자에게 큰 타격을 주는 데 가장 강력한 수단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특히 그는 북한이 한국 문재인 정부를 통해 국제사회의 제재를 약화시키려고 한다면, 미국이 '세컨더리 보이콧', 즉 제3자 제재에 착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이 완료되기 전까지 주어진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며 선제공격을 포함한 대북심리전 등 다양한 군사 대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핵동결을 하겠다고 미·북 대화를 요청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이는 김정은 정권이 장기 집권을 하기 위한 위장 전술일 뿐이라며 믿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그는 "북한의 이러한 유화적인 행동은 김정은 정권의 위급함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라며 "미국의 선제타격에 대한 공포와 핵개발에 시간을 벌기 위해, 한국 국민들을 방패로 이용하는 기만술"이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의 평창동계올림픽 참가를 위해 북한과 한국 간 물밑 거래에 대한 가능성을 제기하며 우려도 표했습니다.

리정호 씨는 노동당 39호실에서 농수산물 수출과 해운을 담당하는 무역관리국장을 지냈고 대흥총국 다롄지사를 운영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