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흑연감속로 재가동, 대단히 유감”

0:00 / 0:00

앵커: 한국 정부는 북측이 2일 흑연감속로를 재가동하겠다고 발표한 것에 대해 "대단히 유감"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북측이 비핵화 약속을 지켜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측은 2일 영변의 5MW급 흑연감속로를 재가동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2007년 10월 6자회담 합의에 따라 불능화 단계에 들어갔던 원자로를 다시 가동하겠다는 겁니다.

이 같은 결정은 북측이 지난달 31일 열린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경제 건설과 핵무력 건설 병진노선’을 채택하고 지난 1일 최고인민회의에서는 '자위적 핵보유국의 지위'를 명시한 법령을 제정한 가운데 나왔습니다.

한국 정부는 즉각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조태영 외교부 대변인: 보도가 사실이라면 대단히 유감스럽습니다. 북한은 그간 이루어진 합의들과 약속들을 지켜야 할 것이며, 한반도 비핵화를 유지해야 할 것입니다. 정부로서는 상황을 계속 예의주시할 계획입니다.

북한 원자력총국 대변인은 영변 흑연감속로 재가동 결정이 “자립적 핵동력 공업”을 발전시키는 조치의 일환이라며 “이러한 사업이 지체없이 실행에 옮겨지게 된다”고 밝혔습니다.

흑연감속로를 재가동하면 북측은 핵무기의 원료인 플루토늄을 폐연료봉에서 추출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원자력총국 대변인은 영변에 있는 우라늄 농축 공장도 재가동 대상으로 언급했습니다. 이는 핵무기의 원료인 고농축 우라늄을 지속적으로 생산할 여건을 갖추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셈입니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의 장용석 선임연구원은 북측의 이번 조치가 "핵 능력을 증강해 미국을 상대로 협상력을 높이겠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북측은 2007년 6자회담의 '2·13 합의'와 '10·3 합의'에 따라 영변 흑연감속로의 가동을 중단했고 2008년 6월에는 흑연감속로의 냉각탑을 폭파한 바 있습니다. 냉각탑은 원자로에서 핵분열로 발생하는 열을 식히는 장치입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흑연감속로를 재가동하려면 냉각탑을 다시 짓고 각종 시설을 정비해야 하기 때문에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