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 수십 명, 9일 작업 중 군사분계선 침범

0:00 / 0:00

앵커 :북한 군 수십 명이 지난 9일 군사분계선을 넘어왔다가 한국 군의 경고 사격에 퇴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침범할 의도 없이 길을 잃어 넘어왔다는 것이 군 당국의 분석입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11일 한국 군 당국에 따르면 북한 군 수십 명이 군사분계선(MDL)을 넘어온 것은 지난 9일 낮 12시 30분쯤이었습니다.

중부전선 비무장지대(DMZ) 안쪽에서 작업하던 이들 가운데 일부가 MDL을 침범했고, 한국 군이 경고 사격을 하자 즉각 북쪽으로 돌아갔습니다.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이와 관련해 “북한 군의 동향을 면밀하게 감시하면서 작전 수행 절차에 의거,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다”며 당시 벌어진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 군이 경고 방송 및 경고 사격을 한 이후 즉시 북상한 것으로 봐서는 MDL을 침범할 의도는 없었던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성준 한국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의 말입니다.

이성준 한국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 DMZ 인근에는 수풀이 우거져 있고 MDL 표식도 잘 보이지 않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길도 없는 상황에 수풀을 헤치며 움직이고 있었고, MDL에 근접하기 전부터 한국 군이 관측을 하고 있었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 합참 관계자는 “북한 군이 짧은 시간 동안 50미터 이내로 MDL을 넘어왔다”며 “곡괭이 등 도구를 지참하고 작업 중이던 북한 군이 길을 잃고 MDL을 넘어온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

MDL을 넘어온 북한 군 약 20명 가운데 다수는 작업 도구를 들고 있었고, 일부는 무장 상태였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 군이 MDL을 넘어온 9일은 한국 군이 오물 풍선 살포에 대응해 최전방 지역에서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실시한 날입니다.

군 당국은 북한의 대남 확성기 설치 동향에 대해선 “북한이 확성기를 설치했고, 이는 대남 방송을 하기 위한 것”이라고 평가한 뒤 “대남 방송은 아직 청취된 것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 통일부는 대북전단 활동을 벌이고 있는 국내 단체들과 접촉을 시도 중이라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되도록 조속하게 관련 단체들과 긴밀하게 이야기를 나누려고 한다”며 이같이 설명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대북전단 단체들을 한 자리에 다 모은다기보다는 가능한 대로 몇 곳이라도 만나고, 사정에 따라 일 대 일로도 면담을 진행하는 등 만남을 계속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기존에도 전화로 상황을 공유해왔지만, 이번에는 보다 긴밀한 소통을 위해 대면 모임을 갖겠다는 것입니다.

다만 면담에서 대북전단 자제를 요청하지는 않을 방침입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번 간담회에서 살포 자제 요청을 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대북전단에 대한 정부의 기존 입장을 거듭 확인했습니다. 지난 10일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의 말입니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 (지난 10일):전단 등 살포 문제는 표현의 자유 보장이라는 헌법재판소 결정의 취지를 고려하여 접근하고 있다는 기존의 입장에 변화 없습니다.

반면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이날 ‘위기상황 관련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대북전단 살포 예상 지역에 순찰과 감시를 강화하겠다”며 접경지역 긴장 고조 등을 막기 위해 전단 살포를 단속하겠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