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주요 7개국, 즉 G7 외교장관들은 21일 있었던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를 강력 규탄하면서 북한과 러시아 간 무기 이전 중단을 촉구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영국 등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과 유럽연합(EU) 고위대표는 22일 성명을 통해 북한의 전날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한 발사를 가장 강력한 언어로 규탄했습니다.
성명은 이 발사가 지역과 그 너머 지역의 평화 및 안정에 심각한 위협으로 탄도 미사일 기술을 사용한 모든 발사는 군사 정찰 위성으로 분류되더라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의 명백한 위반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들은 북한이 불법적인 핵 및 탄도미사일 능력을 계속 개발하는 등 불안정한 활동을 확대하고 있다며, 북한에 핵무기, 기존 핵 프로그램, 기타 대량살상무기(WMD) 및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방식으로 포기하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요구했습니다.
또 북한은 핵확산금지조약에 따라 핵보유국의 지위를 가질 수도 없고, 앞으로도 가질 수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이들은 북한의 무모한 행동이 유엔 안보리의 신속∙단합되고, 강력한 국제사회의 대응으로 맞서야 한다며, 안보리 회원국들에 유엔 관련 결의를 이행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직접적으로 위반하는 북한에서 러시아로의 무기 이전에 대해 다시 한번 규탄하고, 북한과 러시아가 이러한 행동을 중단하고 안보리 결의를 따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들은 핵 및 탄도미사일 관련 기술이 북한으로 이전돼 지역은 물론 전 세계의 평화와 안정을 더욱 위협할 가능성에 대해 깊이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밖에 성명은 북한의 조직적인 인권 침해와 유린, 북한 주민의 복지보다 불법적인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우선시하는 북한 정권의 선택을 개탄하면서 북한이 의미 있는 외교에 나서고 일본, 미국, 한국이 제시한 반복적인 대화 제안을 전제 조건 없이 받아들일 것을 촉구했습니다.
이에 앞서 21일 한미일 국방 관리들 간 관련 협의도 있었습니다.
미 국방부는 21일 보도자료에서 엘리 래트너 국방부 인도∙태평양안보담당 차관보가 이날 허택근 한국 국방정책실장, 카노 고지 일본 방위성 방위정책과장과 통화했다고 밝혔습니다.
3국 관리들은 북한이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해 위성 발사를 시도한 것을 다수의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행위라고 강력 규탄했습니다.
래트너 차관보는 이 자리에서 한일 방어를 위한 미국의 확고한 확장억제 공약을 재확인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 정부는 21일 북한의 3차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대해 강력 규탄했습니다.
21일 매튜 밀러 국무부 대변인의 말입니다.
밀러 대변인 :북한이 오늘 군사정찰위성을 불법적으로 발사한 것을 규탄합니다. 이번 발사는 우주 발사체를 포함한 탄도 미사일 기술 활용에 대한 여러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했습니다.
에디터 박정우,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