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는 13일부터 15일까지 이탈리아에서 열릴 G7, 즉 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서 북한과 러시아 간 군사협력에 대한 논의가 열리지만 이를 저지할 수 있는 실행 정책안이 도출되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 연구기관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 석좌는 12일 동 연구소가 개최한 G7 정상회의 전망 관련 대담에서 G7 소속인 미국과 일본 측으로부터 회의 기간 중 북한의 무기 프로그램과 북러간 군사적 협력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들었다고 밝혔습니다.
G7 정상회의 일정 중 인도∙태평양 지역 실무회의에서 논의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데요.
차 석좌는 그러나 이전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 한국과 호주(오스트랄리아) 등이 초청된 반면 이번 회의에서 한반도 문제의 직접적 당사국은 미국과 일본에 그치는 만큼 상대적인 논의 비중은 낮을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대신 이번 G7 정상회의에선 이탈리아로 많은 이민자들이 오는 아프리카 국가들이 초청된 점으로 미뤄 아프리카 관련 논의가 주요 의제 중 하나가 될 전망입니다.
차 석좌는 북한의 무기 프로그램과 러시아가 북한에 첨단 군사 기술을 제공할 경우 인도∙태평양 지역 뿐 아니라 유럽 안보에 큰 위협이 되는 만큼 이에 대한 비판과 규탄 성명이 나올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추가 2차 제재와 같은 대응 방안이 마련될 수 있지만 북러간 군사협력을 저지할 실행 정책을 내놓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차 석좌 :지켜보야 겠지만 아무도 북러 군사협력을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비난하는 것은 매우 쉽습니다. 하지만 이들간 무기 이전을 막기 위해 추구할 실제 정책안을 찾는 것은 더 어려운 일입니다.
이에 앞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개발과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협력을 강력히 비판할 예정이라고 일본 교도통신이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10일 보도했습니다.
교도통신은 미국·일본·영국·캐나다·독일·프랑스·이탈리아 정상은 회의 후 발표하는 공동 성명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개발을 비판하는 한편 러시아가 북한으로부터 미사일을 조달하는 것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라고 지적할 예정입니다.
이런 가운데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중국·현대아시아연구소의 콘스탄틴 아스몰로프 한국학센터 선임연구원은 11일 러시아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이달 중 북한을 방문해 북러 관계를 새로운 수준으로 높이는 조약을 체결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아직 푸틴 대통령의 방북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이번 주요 7개국 정상회의와 15~16일 스위스에서 열리는 우크라이나 평화회의 직후가 될 것으로 보여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에디터 박정우, 웹팀 김상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