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북한이 지난 9월 공개한 사진에서 김정은 총비서가 방문한 우라늄농축시설의 원심분리기 배열과 구조가 평양 인근 '강선 단지' 본 건물과 새로 건설된 부속 건물의 구조 및 원심분리기 농축시설 배치와 일치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20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린 IAEA 이사회에서 이같이 말하고 사진에서 나타난 부속 건물 내 원심분리기는 "핵무기를 기하급수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원심분리기 수를 더욱 늘릴 것"이라는 김정은 총비서의 발언과 일치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는 강선 단지에 신고되지 않은 농축시설이 있고 '무기급 핵물질 생산 기반'을 더욱 강화하려는 요구(call)를 보여주는 것으로 심각한 우려를 불러일으킨다고 지적했습니다.
당시 사진에서 김정은 총비서가 방문한 우라늄농축시설을 두고 '강선 단지'일 것이라는 분석이 유력했는데 이번에 IAEA 가 강선 단지와 일치한다고 확인한 것입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영변 5MW(e) 원자로가 8월 중순부터 10월 중순까지 가동되지 않았다며 전문가들은 이 기간은 원자로에 연료를 공급하고 7번째 운영 주기를 시작하기에 충분한 시간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원자로에서 빼낸 방사능 연료는 몇 달 동안 냉각된 후 재처리될 수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관련 기사>
핵 전문가들 "북 공개 우라늄농축시설 내 원심분리기 신형 인듯"
"핵시설 공개한 북, 비핵화 아닌 핵 군축 압박"

그는 영변의 경수로(LWR)는 계속 간헐적으로 가동되고 있다며, 이는 여전히 시운전 과정에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영변 내 원심분리기 농축 시설도 여전히 가동 중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중요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여전히 핵 실험을 지원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고 그는 말했습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북한의 핵 프로그램의 지속 및 추가 개발, 특히 보고되지 않은 농축 시설의 공개와 경수로의 시운전 진행은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명백히 위반하는 것이라며 매우 유감스럽다고 강조했습니다.
에디터 박정우, 웹편집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