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철거’ GP에 병력·중화기 투입하고 감시소 설치

서울-목용재 moky@rfa.org
2023.11.27
북, ‘철거’ GP에 병력·중화기 투입하고 감시소 설치 북한이 9·19군사합의 전면파기를 선언하고 난 뒤, 북한군 병사들이 비무장지대 내 GP 감시소를 설치하고 있다.
한국 국방부

앵커: 북한이 9.19 남북군사합의로 철거했던 비무장지대(DMZ) 내 전방초소(GP)에 병력과 중화기를 투입하고 감시소까지 설치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9.19 남북군사합의 일부 조항 효력정지 조치에 대해 합의를 전면 파기할 것이라고 맞대응한 북한이 비무장지대(DMZ) 내 전방초소(GP) 등 대남 경계 시설 및 병력 배치를 복원하고 있습니다.

 

한국 군 당국은 27일 동부전선 소재의 북한 측 GP 사진을 공개하면서 지난 24일부터 GP 시설물 복원 움직임을 포착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이 9.19 합의 파기 발표의 일환으로 이런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관측됩니다.

 

한국 군 당국이 포착한 사진에는 북한 군 병력이 대남 감시소를 설치하는 모습과 진지에 무반동총과 같은 중화기를 배치하는 모습, 야간 경계근무를 서는 모습 등이 담겼습니다.

 

앞서 남북은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시범적 조치로 DMZ GP 가운데 상호 1km 이내 근접해 있는 양측의 감시초소들을 완전히 철수시킨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남북은 각각 11개의 GP 가운데 10개를 완전 철거하고 나머지 1개씩은 병력과 장비는 철수하되 원형은 보존했습니다.

 

한국 군 관계자는 파괴하거나 철수한 (북측) 11GP 모두 유사한 상황이라며 감시소는 필수 경계 시설로 11곳 모두 만들 것으로 보이고 주변 경계 진지도 마찬가지라고 밝혔습니다.

 

북한의 GP 복원 수준과 관련해서는 나무로 만들어 임시로 만든 것 같고 후사면에 있는 막사나 지원시설들도 일부 식별된다무반동총과 유사한 무기도 식별되고 있고 고사총 등도 보이지 않을 뿐 다 들여오지 않았나 추정한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국방부 관계자는 북한이 9.19 군사합의 파기를 선언한 이후 서해 해안포 개방 횟수를 늘렸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윤석열 한국 대통령은 9.19 군사합의 일부 효력정지 조치 이후 안보상황을 신원식 국방부 장관과 김명수 합동참모본부 의장으로부터 보고 받았습니다.

 

한국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북한의 동향을 빈틈없이 감시하면서 우리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확고한 군사대비태세를 유지할 것을 지시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 군 당국은 지난 21일부터 시작한 북한의 이른바 군사정찰위성 발사와 관련한 잔해물 탐색 및 인양작전을 지난 26일에 종료했습니다. 이를 통해 유의미한 잔해물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현재는 북한이 쏘아올린 이른바 군사정찰위성의 성능 파악을 진행 중입니다.

 

전하규 한국 국방부 대변인은 27일 기자 설명회를 통해 북한 위성이 궤도에 진입했다면서도 기술적 진전에는 제한이 있을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전하규 한국 국방부 대변인: 지난 5월에 발사해서 실패한 북한 위성체의 수준이 조악한 수준이었기 때문에 수개월 내에 위성체의 기술적 진전을 이루기에는 다소 제한이 있지 않나, 이렇게 평가합니다.

 

이어 전 대변인은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체가 언제든 핵을 투발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 활용될 수 있는 수단이기 때문에 한국의 중대한 안보 위협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대해 국제사회가 단합해 대응해야 한다는 입장도 거듭밝혔습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현지시간으로 27일 긴급회의를 열어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대해 논의하는데, 한국 정부도 이해당사국으로서 참석합니다. 구병삼 한국 통일부 대변인입니다.

 

구병삼 한국 통일부 대변인: (한국 정부는) 국제사회가 함께 이 문제에 대해 엄중성을 인식하고 북한이 이러한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불법적인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국제사회와 함께 일치된 목소리를 내는 게 대단히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반면 북한 외무성은 안보리 긴급회의 소식에 정찰위성발사는 합법적이며 정당한 방위권 행사라며 미국과 추종세력들이 안보리 결의들을 걸고 자주권을 또다시 침해하려 든다면 어떤 후과에 대해서도 전적으로 책임지게 될 것이라고 반발했습니다.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도 북한을 옹호하고 있어 안보리 차원의 가시적인 성과가 도출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한미일은 북한의 위성 발사에 대해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 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행위라며 국제사회의 단합된 대북 대응을 이끌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한미일 외교장관은 현지시간으로 지난 24일 유선 협의를 통해 북한의 도발에는 대가가 따른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공감했습니다. 한국의 9.19 군사합의 일부 효력정지 조치에 대해서는 미국과 일본이 각각 정당하고 절제된 대응”, “필요성을 이해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한편 한국과 일본, 중국의 외교장관들은 지난 20198월 이후 4년여 만에 3자 외교장관 회담을 개최했습니다. 이 회담에서 3국은 협력관계의 복원 및 정상화에 합의하고 후속 조치로 3국 정상회의 준비에 속도를 내기로 했습니다.

 

또한 3국 외교장관들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각급에서 소통을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목용재입니다.

 

에디터 양성원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