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트럼프, 정상회담 조속히 개최해야”

0:00 / 0:00

앵커: 한국 대통령 선거에서 진보 성향의 문재인 후보의 당선이 사실상 확정됨에 따라 한미 정상회담이 언제 개최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문재인 대통령이 하루 빨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만나 북핵 문제 등 현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권고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부르킹스연구소의 조나단 폴락 박사는 9일 문재인 대통령 당선과 관련된 전화 기자회견을 통해 트럼프 행정부는 조속한 한미 정상회담 개최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폴락 박사 : 우선 즉각 문재인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하고 빠른 시일 내에 얼굴을 맞대는 정상회담 일정을 조율하는 것이 매우 적절할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 문재인 대통령과 개인적인 친분을 쌓으면서 북핵 위협과 사드, 즉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 등과 관련한 그의 주장과 입장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는 게 폴락 박사의 권고입니다.

폴락 박사는 현재 트럼프 행정부가 중점을 두고 있는 대북압박 기조와 한국 문재인 새 행정부의 대북 접근법에 차이가 있을 수 있는만큼 솔직하고 긴밀한 양측 간 협의가 필수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미국 해군분석센터(CNA)의 켄 고스 국제관계국장도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문재인 정부가 너무 성급하게 대북 유화책을 추진할 경우 미국 측과 마찰을 빚을 수 있다면서 남북관계 개선에 대해 미국 측이 허용할 수 있는 한계(red lines)를 파악하기 위한 조속한 한미 정상회담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고스 국장은 사드 배치와 비용 문제 등과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은 일부 속도를 조절하려 할수 있고 이 사안을 남북관계 개선과 연계해 지렛대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라면서 이에 대한 미국 측 반응에 따라 한미 관계가 개선되거나 크게 악화할 수도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또 현재 북한은 문재인 정부가 내놓을 대북 제안을 기대하며 외교적 구애공세를 취할 신호를 보이고 있다면서 만일 문재인 행정부가 북한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할 경우 북한은 추가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로버트 킹 전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도 9일 한미경제연구소(KEI) 기고문을 통해 사드 문제가 문재인 정부와 트럼프 정부 간 갈등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킹 전 특사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지도자 김정은과 만날 수 있다고 한 발언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 당선자가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자신도 북한을 핵 협상장으로 이끌어 내려는 데 트럼프 대통령과 비슷한 입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그 구체적인 방법론에 있어서 양국 지도자가 얼마나 유사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는 더 두고봐야 한다고 킹 전 특사는 덧붙였습니다.

한편 미국 백악관은 9일 오후 문재인 한국 대통령 당선에 대해 환영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백악관 측은 한국 국민들의 평화적이고 민주적인 정권 이양을 평가하면서 문재인 대통령 당선자와 협력해 한미동맹을 지속적으로 더욱 강화할 수 있길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에드 로이스 미국 하원 외교위원장도 이날 성명을 통해 문재인 후보의 대통령 당선을 축하했습니다.

그는 문재인 행정부와 한반도의 안정, 평화 유지를 위해 협력하길 기대한다면서 이를 통해 역내 평화와 번영, 안정, 또 인권 증진에 기여하겠단 의지를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