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해커조직, 중국 묵인 아래 활개”

워싱턴-홍알벗 honga@rfa.org
2020.10.29
brookings.jpg 미국 브루킹스 연구소가 마련한 웨비나에서 전문가들은 중국과 북한 해커집단의 관계에 대해 토론했다.
사진-화상회의 화면 캡쳐

앵커: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북한의 계속되는 사이버 공격은 중국의 묵인 하에 가능한 일이라고 전문가들이 지적했습니다. 홍알벗 기자의 보도입니다.

미국 민간 연구기관인 브루킹스연구소가 29일 사이버 안보를 주제(Cybersecurity and cyber resilience)로 한 온라인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토론자들은 중국과 러시아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해킹공격이 주를 이루지만 북한의 사이버공격도 큰 부분을 차지한다면서 이를 막기 위한 아시아-태평양지역 국가들의 협력대응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특히, 호주, 즉 오스트랄리아 전략정책연구소(Australian Strategic Policy Institute)의  토마스 유런(Thomas Uren) 수석 분석관은 “중국에 북한 해커들이 상당 수 있다”며 “이들이 활동할 수 있는 것은 중국 정부가 눈감아주기 때문”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유런 분석관:  중국에는 많은 북한 해커가 있으며, 이는 중국이 북한 해커들의 활동을 차단하는 것이 (동맹국인 북한) 정권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중국은 북한의 불법 해킹 활동이 못마땅하지만 그렇다고 북한 체제의 붕괴 또한 바라지 않기 때문에 이를 방조하고 있다는 겁니다.

아시아 소사이어티 정책연구소(Asia Society Policy Institute)의 엘리나 누어(Elina Noor) 워싱턴DC지국장도, 말레이시아를 포함한 동남아시아의 많은 나라들도 자국 내 북한의 해킹 활동에 별다른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누어 지국장: 말레이시아를 포함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북한과 우여곡절(dramatic)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만큼, 자국의 사이버공격도 내부자에 의한 것이지 북한에 의해 일어나는 것은 아니라고 여기는 것 같습니다.

브루킹스연구소의 정박(Jung H. Pak) 한국석좌도 “북한은 중국과 동남아시아 국가에서의 활동을 위해 그동안 이들과 외교적 관계를 맺는데 애써왔다”고 말했습니다.

정박 한국석좌: 중국 베이징의 관점에서 볼 때 (북한의 해킹활동은) 골칫거리일 수는 있어도 치명적인 공작은 아니라고 여기고 있는 겁니다.

한편, 이번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선 한국 외교부의 배종인 국제안보대사는 사이버안보를 위해 한국 정부는 안보관련 인력 양성에 주력하는 한편,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사이버공격 근절을 위해 전 세계 국가들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