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노동자 송환 “중동은 적극적, 아프리카는 소극적”
2019.12.20
앵커: 해외 북한 노동자 송환과 관련해 유엔 대북제재 결의 이행에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는 두 곳이 있습니다. 바로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인데요. 홍알벗 기자가 살펴 봤습니다.
한때 3천500명이나 있을 만큼 북한 노동자로 북적거렸던 쿠웨이트.
하지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한 결과, 주로 공사현장에 투입돼 일하던 북한 노동자들은 거의 다 고향으로 돌아갔습니다.
쿠웨이트 현지에서 북한 노동자들과 자주 접촉하던 현지 소식통은 20일, 현재 쿠웨이트에서 북한 노동자는 물론 그들을 관리하던 행정원 등 관리인들도 볼 수 없으며, 쿠웨이트 정부가 북한 노동자에 대해서는 비자, 그러니까 사증을 더 이상 발급하지 않는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말했습니다.
중동지역 사정에 밝은 또 다른 소식통은 쿠웨이트 외에도 카타르 등 미국을 비롯해 서방 국가들과 비교적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중동국가를 중심으로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이행에 상당히 적극적이며, 대북제재 결의 2397호 8항에 따른 해외 북한 노동자 송환일인 22일을 앞두고 북한 노동자들은 중동지역에서 대부분 빠져 나갔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중동과 맞닿아 있는 아프리카 지역은 사정이 다릅니다.
전통적으로 북한과 우호관계를 맺고 있는 나라들은 이런 저런 핑계를 대며 유엔 대북제재 이행에 소극적인 모습입니다.
유엔 안보리가 공개한 지난 6일까지의 이행보고서 제출현황을 보더라도 아프리카 대륙에서는 이행보고서를 제출한 곳이 적도 기니 한 곳뿐입니다.
아프리카 지역 소식에 밝은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특정 국가를 지목할 수는 없지만 대부분의 친북 국가들이 대북제재 결의 따른 북한 노동자 송환을 나몰라라 하고 있습니다.
민간업체가 고용했기 때문에 정부는 북한 노동자 문제에 관여하기 힘들다는 게 이들의 공통된 주장입니다.
한편, 아프리카 국가들의 이 같은 행태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갖고 있냐는 자유아시아방송의 질문에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측은 20일 오후까지 답변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