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북 8차 당대회, 코로나 여파로 축소 가능성”

0:00 / 0:00

앵커 :한국 통일부가 북한이 내달 개최할 제8차 당대회의 규모가 코로나19,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 여파로 직전 당대회보다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서울에서 서재덕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29일 노동당 정치국 회의를 통해 내년 1월 초순에 제8차 당대회를 개최한다고 결정한 북한.

한국 통일부는 31일 북한의 제8차 당대회의 규모가 7차 당대회와 비슷한 규모로 예상되나 코로나19, 즉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 여파로 다소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통일부는 이날 배포한 ‘북한 8차 당대회 개최 관련 참고자료’에서 지난 2016년 5월 개최된 7차 당대회 당시에는 당대회 대표자 3천667명과 방청자 1천387명 등 총 5천54명이 참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함께 신형 코로나에도 8차 당대회 전후로 군중 동원 행사가 열릴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앞서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인 ‘38노스’는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수천 명의 사람이 대형을 이뤄 ‘결사옹위’ 글자를 만드는 등 당대회 행사 예행연습을 하는 듯한 위성사진이 찍혔다고 전한 바 있습니다.

북한은 지난 7차 당대회 직후에도 평양시 군중대회와 군중시위, 야회·횃불행진 등을 연이어 진행했습니다.

통일부는 8차 당대회 의제와 관련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지위 격상·강화 여부와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에 대한 새로운 지위 부여 가능성, 당 조직개편과 세대교체 등 지도부 재정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자력갱생’ 기조하에 새로운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제시하고 한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와의 협력 의지 등을 표명할지에 대해서도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북한이 어려운 대내외 환경을 고려해 전향적으로 대외 입장을 변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하며 미국의 차기 행정부를 의식한 온건 기조의 대미 메시지 전달과 남북대화 제의 등 대남 메시지 발신 여부를 주목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국의 국책연구기관은 통일연구원은 북한이 내년 1월 8차 당대회를 개최하는 것은 오는 1월 20일 미국 대통령 취임식에 앞서 ‘선제적인 메시지’를 피력하려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통일연구원은 31일 발간한 ‘2021 한반도 정세 전망’에서 미국의 차기 행정부의 대북정책 내용을 보고 사후적으로 대응하는 메시지를 내는 것이 아니라 북한이 미국의 향후 대북정책 수립에 일정한 영향을 주는데 무게를 두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습니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 :북한이 8차 당대회를 통해 선제적으로 대미 입장을 피력하는 이유는 아마도 강경한 노선보다는 최대한 협상의 여지를 두는 나름대로 유화적 메시지가 나올 가능성을 염두에 뒀다고 봅니다. 물론 기존의 전략무기 지속 개발이라는 하나의 수는 계속 유지하면서 나름대로 미국과의 협상 여지를 두는 핵 비확산, 핵군축 또는 핵의 평화적 사용에 관련된 메시지를 내놓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가운데 통일부는 올해 탈북민 취약계층 전수조사를 통해 신형 코로나로 생활여건이 어려워진 위기계층 829명을 긴급 지원했다고 밝혔습니다.

통일부는 상반기 조사에서 438명, 하반기 조사에서 391명의 ‘위기 의심자’를 찾아 생계비와 의료비 등을 긴급 지원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함께 코로나로 인해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는 탈북민들에게 방역과 생활필수품, 장학금, 경영자금, 심리검사 등을 지원했습니다.

통일부는 이를 위해 탈북민 장학금과 창업지원금, 영농정착지원금에 대한 당초 예산을 18억1800만원, 미화 약 167만3000달러에서 23억700만원, 미화 약 212만3000달러로 확대했다고 말했습니다.

통일부는 탈북민이 한국 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생활밀착형 정착지원 정책의 내실화를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국 통일부에 따르면 지난 9월 말까지 한국에 정착한 탈북민 수는 모두 3만 3700여 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