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조선신보 유료화…“외화벌이 안간힘”

워싱턴-김소영 kimso@rfa.org
2020.11.17
news_sc.jpg 조선신보 사이트에 소개된 구독신청료 안내.
사진-조선신보 사이트 화면 캡쳐

앵커: 일본에서 발행되는 친북 매체가 최근 구독을 유료화하면서 이 자금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북한 정권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는 지난 10월부터 온라인 기사 열람을 위해 월 1천900엔, 약 19달러 또는 연 2만 8천800엔, 약 280달러의 구독료를 부과하는 유료화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여전히 일부 기사나 영상들은 무료로 열람이 가능하지만 자물쇠 모양이 표시된 기사들은 유료 구독자만 볼 수 있습니다.

15만 명으로 추정되는 일본 내 조총련 회원들에게 인기있는 조선신보가 유로화된 데 대해 일각에서는 올 들어 코로나 19와 유엔 대북제재 등으로 심각해진 북한 경제난 해결을 위한 자구책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유입을 막기 위해 지난 1월 말부터 약 10개월 가까이 북중 국경이 폐쇄되면서 무역이 완전 중단된데다 올 여름 여러 차례 발생한 태풍으로 주택과 농경지에 큰 피해를 입으면서 북한은 경제적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일본 도쿄에 위치한 조선신보 본사의 최관익 편집장은 관련 소식을 최근 보도한 독일 매체 도이체 벨레와의 인터뷰에서 유료화 전환 이유에 대해 ‘자금 부족으로 인한 경영난’ 때문이라며, 언론 환경 변화에 따라 방침을 바꿨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신문 판매와 광고 수입이 운영비에 못미쳐 자금난에 직면한 것은 조선신보 뿐 아니라 대부분의 신문사들이 마찬가지”라면서 “다른 숨은 의도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북한 경제 전문가인 미국 조지타운대학의 윌리엄 브라운(William Brow) 교수는 17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통화에서 일본 업체로 등록된 조선신보에서 북한 내부로 외화를 송금하는 것은 일본 자체 대북제재법에 저촉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브라운 교수: 조총련은 일본 단체로 여겨지며, 북한 출신이더라도 일본인 국적이기 때문에 일본 기관으로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제재 단속 여부는 일본 정부에 달려 있습니다. 저는 일본 단체에서 북한에 돈을 보내는 것은 유엔 대북제재를 떠나 일본 국내법을 위반한다고 생각합니다.

브라운 교수는 1970~90년대까지 조총련이 일본의 사행성 오락기계인 ‘파친코’ 업계를 장악하면서 벌어들인 수익금 중 수백만 달러를 매년 북한 정권에 보냈지만 이후 업계 주도권을 뺏기면서 대북 송금액은 연 수만에서 수십만 달러에 그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그는 여기에 일본 정부의 대북제재 이행 강화로 북한으로 직접 송금이 어려워져 추적이 어려운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국가 등을 거쳐 송금하는 실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브라운 교수는 또 최근 수년간 조총련이 도쿄에 있는 건물의 임대료조차 내기 어려울 정도로 자금 사정이 매우 악화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 단체를 위한 자금 마련을 위해 조선신보를 유료화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일본 외무성 대변인실은 이와 관련해 17일 미국의 북한전문매체 ‘NK뉴스’에 보낸 답변서에서 “일본 외무성은 조선신보의 웹사이트 기사에 대한 구독료 부과가 유엔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관련 문제를 야기하는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유엔 대북제재위원회는 이와 관련한 자유아시아방송(RFA)의 논평 요청에 17일 오후까지 답변하지 않았습니다.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