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SI “리정철, 북 정권 자금조달에 중추적 역할”

워싱턴-김소영 kimso@rfa.org
2020.12.15
RUSI “리정철, 북 정권 자금조달에 중추적 역할”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세팡경찰서에서 삼엄한 경계속에 북한 리정철이 추방되기 앞서 차량에 오르고 있다.
연합

앵커: 지난 2017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이복형, 김정남의 독살사건에 연루된 혐의로 조사를 받다 말레이시아에서 추방된 북한인 리정철이 폭넓은 해외 네트워크, 즉 인적 정보망을 이용해 북한 자금조달에 중추적 역할을 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15일 리정철이 2017년 김정남 독살사건의 유력한 용의자로 체포됐을 당시 말레이시아 경찰이 압수한 휴대폰(손전화), 컴퓨터 등에서 찾아낸 연락처 목록과 문자 및 통화 내역, 전자우편 내용 등을 분석한 보고서를 통해 리씨의 해외 정보망이 상당하다고 밝혔습니다.

보고서는 리 씨가 말레이시아에 허위 취업비자로 정착한 이후 북한 대외무역을 총괄하는 대외경제위원회 소속 조선봉화총회사의 대표를 맡아 물자 조달과 함께 북한산 광물 수출 등에 관여한 정황이 포착됐다고 지적했습니다.

리 씨에게 허위 비자를 발급한 말레이시아 회사, 톰보 엔터프라이즈(Tombo Enterprise) 대표 총아코우(Chong Ah Kow)는 유엔 제재대상인 북한 만수대창작사의 해외 법인, '만수대 해외프로젝트(MOP)’와 북한 합작회사 MKP의 자회사인 M.O.P, M.K.P 프로젝트의 이사 및 주주를 맡는 등 북한과 깊은 관계를 갖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보고서는 또 조선봉화총회사는 제재 대상이 아니지만 북한 핵실험과 무기 개발을 지원한 혐의로 미국 재무부가 지난 2016년 금융거래 제재 대상에 올린 금강은행과 거래한 내역이 있다며, 리 씨가 북한 정권의 자금 조달에 깊이 관여했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보고서는 특히 리정철이 말레이시아 현지에서 야자유와 비누, 기타 상품을 도매로 사들여 북한에 보내는 일을 했는데 이를 위한 운송과 송금에 중국 국영기업, 중국인이 깊이 연루된 점도 지적했습니다.

실제 연구소가 입수한 은행 송금 내역서에 따르면 조선봉화총회사 소유 수만 달러가 리 씨를 대신해 ‘장기강이라는 중국인을 통해 2주에 걸쳐 베이징과 단동에 있는 여러 개의 중국 은행계좌로 분할 이체됐습니다.

보고서 저자인 왕립합동군사연구소 확산 및 핵 정책 프로그램의 개리 서머빌(Gary Somerville) 연구원은 15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이는 유엔 대북제재 감시를 피하기 위해 대리인을 이용하는 북한의 전형적인 수법을 보여준다고 말했습니다.

서머빌 연구원: 원금이 중국 은행계좌에 여러 번에 걸쳐 입금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중국은행으로부터의 정밀조사를 피하기 위한 것입니다.

말레이시아와 북한 간 물자 조달에는 중국 국영업체인 컴플랜트 국제운송(Complant International Transportation)도 깊이 연루돼 있습니다.

리 씨는 2016년 이 업체를 통해 말레이시아에서 중국 다롄을 거쳐 북한 남포항으로 수십만 달러 상당의 물품을 운송했는데 이 당시 다롄 현지에 있는 북한인과의 통화 기록도 발견됐습니다.

컴플랜트 국제운송은 과거 2009년에도 북한의 탱크 부품을 비롯한 군용품을 콩고에 불법으로 운송한 기록을 갖고 있습니다.

미국 법무부는 지난 9월 김정남 피살사건과 무관하게 리정철이 말레이시아의 사업가로 위장해 활동하면서 북한을 위해 자금세탁과 물품 조달 등을 해온 혐의로 기소한 바 있습니다.

서머빌 연구원은 리정철의 해외 네트워크를 조사해보면 중국이 북한의 핵 · 미사일 프로그램 관련 제재 회피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북한인들에게 여전히 관대하다는 것이 재입증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그러면서 허위 비자로 해외에 정착한 많은 북한 요원들의 활동을 막기 위한 국제사회 차원의 감시와 조치가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중국 금융 당국이 해외에 있는 북한 관련 기관에서 중국 단동으로 흘러들어가는 자금에 대해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서머빌 연구원은 덧붙였습니다.

한편 리정철의 휴대폰에서 발견된 170여개 연락처와 연락 횟수를 분석한 결과 말레이시아와 중국에 있는 북한인, 현지 외교관 등이 가장 많았고, 북한 내 군부 기관들도 다수를 차지했습니다.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