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위성’ 발사 직후 기존발사장서 차량 움직임 포착

워싱턴-박재우 parkja@rfa.org
2023.05.31
북 ‘위성’ 발사 직후 기존발사장서 차량 움직임 포착 플래닛랩스에 찍힌 31일 정찰위성발사 이후 서해 위성 발사장에 위치한 기존 발사장의 모습.
/플래닛랩스

앵커: 북한이 서해 위성발사장에서 발사한 정찰위성 만리경 1궤도 진입이 실패로 돌아간 가운데, 발사 직후 기존 발사장 모습이 위성사진에 포착됐습니다박재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발사에 실패한 이후 31일 공개된 플래닛 랩스 사진에 따르면 기존 발사장에서 차량들이 정렬된 모습이 포착됐습니다.

 

해당 모습은 발사 직후의 모습으로 이번에 발사된 정찰위성은 새 발사장이 아닌 기존 발사장에서 발사됐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앞서 전날인 30일 우주발사체를 실을 수 있는24m 길이로 된 긴 차량과 로켓 연결 타워 작업대가 접혀 있는 것으로 포착됐습니다.

 

그러나 31일 공개된 사진에는 이보다 많은 18대에서 20대 가량의 트럭이 발사장 위에 포착됐고, 우주발사체를 실었던 차량도 다시 포착됐습니다.

 

미 연구기관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조셉 버뮤데즈(Joseph Bermudez) 선임연구원은 자유아시아방송(RFA)과 통화에서 이 사진을 봤을 때 새 발사장이 아닌 기존의 발사장에서 정찰위성 발사가 이뤄진 것으로 추측했습니다.

 

 

버뮤데즈 연구원: 오늘 사진에서 약 18~20대의 트럭이 발사장 위에 있고, 로켓의 운송 수단이 될 수 있는 긴 차량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어제 로켓 운송을 위한 긴 차량이 있다고 발표했는데요. 로켓을 트럭으로 발사대로 운반했고, 그것을 들어올려 발사한 것으로 보입니다.

 

플래닛랩스에 찍힌 31일 정찰위성발사 이후 서해 위성 발사장에 위치한 기존 발사장의 모습. /플래닛랩스

 

버뮤데즈 연구원은 또 “우주발사체를 실었던 차량이 24m로 추정되고, 로켓 길이는 22m로 보인다라며 아마도 로켓의 1단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에 따르면 이번에 공개된 로켓은 ‘천리마 1으로 정상비행하던 중 1단계 분리 후 2계단 발동기(엔진)의 시동 비정상으로 추진력을 상실하면서 서해에 추락했습니다.

 

현재 이를 한국의 합동참모본부가 탐지해 발사체 잔해 수거에 나섰으며 서해 어청도 서방 해상, 즉 한국과 중국의 중간해역에서 발사체의 1단 로켓과 2단 로켓 사이 원통형 연결단으로 추정되는 부유물을 인양하기도 했습니다.

 

미국의 민간 위성 분석가인 제이콥 보글(Jacob Bogle) 씨도 자유아시아방송에 위성 사진에서 보이는 차량들은 기술자들과 현장에서 일하는 다른 사람들을 위한 운송수단으로 보인다라며 사진에서의 활동을 봤을 때 새로운 발사대가 아닌 기존의 발사대에서 이뤄진 것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북한이 다음에 어떤 발사체를 사용하는지가 흥미로울 것이라며 그들은 은하 3호와 같은 검증된 발사체를 그들의 다음 시도에 사용하려고 시도할 수도 있고, 최근의 실패를 해결하고 두 번째 천리마 위성 발사체를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12.jpeg
북한 우주체발사상황. /RFA 그래픽 – 김태이

  

미 민간연구단체 스팀슨센터의 마틴 윌리엄스(Martyn Williams) 연구원도 자유아시아방송에 새 발사장 사진을 봐야 하지만 현재 주어진 사진으로 봤을 때 기존 발사장에 많은 차량들이 모여있다는 것은 발사 후를 점검을 위한 것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윌리엄스 연구원: 아마도 그것이 과학자들이 이미 발사대에 도착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이미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조사하기 시작했다는 것일 수 있습니다. , 로켓 연료가 상당히 독성이 있기 때문에 청소와 관련된 차량도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기존 발사장 사진은 발사 후 4시간이 지난 사진이고, 새 발사장의 위성 사진이 명확히 찍히지 않아 어느 발사장에서 발사했는지 확정하기 이른 상황입니다.

 

에디터 박정우, 웹팀 이경하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