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미일 등 40여 개국 유엔 대사들이 북∙러 간 무기거래 중단을 강력히 촉구했습니다. 조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미일 등 46개국과 유럽연합(EU) 대사들은 22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북∙러 간 무기 거래를 규탄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이들은 이란과 벨라루시, 북한의 대러시아 군사 지원을 규탄하며 “모든 국가에 러시아 침략 전쟁을 지원하기 위해 미사일과 드론을 포함한 무기와 군사 장비를 제공하지 말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공동 성명은 유엔 안보리 결의를 통해 채택된, 북한에 대한 유엔 무기 금수 조치를 러시아와 북한이 위반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러시아가 북한의 탄도미사일을 사용함으로써 북한이 무기를 발전시킬 중요 통찰력을 제공할 가능성도 우려하고 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기자회견 뒤 열린 안보리 회의에서도 북∙러간 무기 거래를 규탄하는 목소리가 이어졌습니다.
로버트 우드 주유엔 미국 차석대사는 “러시아군은 안보리 결의를 위반해 획득한 북한산 탄도미사일을 우크라이나에 최소 세 차례 사용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우드 차석대사 : 북∙러간 불법적인 무기 이전과 잠재적인 기술 이전은 지역 안정과 세계적인 비확산 체제를 약화시킵니다. 이사회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른 의무를 위반하는 모든 국가에 책임을 물어야 합니다.
아울러 그는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즉각 군대를 철수하고 북한산 무기의 불법 조달을 중단해야 하며, 안보리와 국제사회 일원으로서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황준국 주유엔 한국대사도 이날 안보리 회의에서 “러시아의 북한산 탄도미사일 사용은 한반도를 넘어 전 세계의 핵 비확산 이슈에도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며 “안보리 상임이사국이 이처럼 노골적이고 심각하게 안보리 제재를 위반한 것은 전례가 없기 때문”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그는 또한 “(북한이 러시아에 이전한) 문제의 미사일은 북한이 한반도에 도달하는 비행사거리에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단거리 탄도미사일이었다”며 “이를 통해 북한의 수익이 창출되며, 불법 핵 및 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에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습니다.
세르히 키슬리차 유엔 주재 우크라이나 대사도 이날 “러시아가 이란과 북한으로부터 받은 무기와 군사 장비는 계속해서 분쟁을 촉발하고 민간인 사상자 증가를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반면 이날 안보리 회의 소집을 요청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의 책임을 서방의 우크라이나 지원 탓으로 돌리며 서방측을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회의에 참석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왜곡된 시각을 갖지 않는 다수 전문가는 우크라이나 사태의 평화적 해결을 방해하는 핵심 요인을 서방의 지속적인 우크라이나 정권 지원 탓으로 보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에디터 박정우,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