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리번 백악관 보좌관 "대북 적대 아닌 북핵 해결이 목표”

미국의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2일 조 바이든 미 행정부 대북정책 기조에 대한 북한의 반발에 대해 미국의 정책은 대북 적대가 아닌 북한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Our policy towards North Korea is not aimed at hostility. It's aimed at solutions.)

설리번 보좌관은 이날 미국 ABC방송에 출연해 바이든 대통령의 의회 연설에 대해 북한이 "심각한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 것에 대해 이같이 말하면서 미국의 대북정책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궁극적으로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거듭 밝혔습니다. (It's aimed at ultimately achieving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그는 이어 "우리는 이 궁극적 목표를 향한 외교에 관여할 준비가 돼 있다"며 "그 목표를 향해 진전하는 것에 도움이 되는 실용적 조치를 취하기 위해 노력할 준비도 돼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And we're prepared to engage in diplomacy towards that ultimate objective, but work on practical measures that can help us make progress along the way towards that goal.)

설리번 보좌관은 그러면서 전부 혹은 전무(all for all, or nothing for nothing)식 방안보다는 좀 더 조정되고 실용적인 신중한 접근법이 북한 핵문제의 실질적인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습니다. (And we believe that rather than all for all or nothing for nothing, a more calibrated, practical, measured approach stands the best chance of actually moving the ball down the field towards reducing the challenge posts by Iran's --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앞서 북한의 권정근 외무성 미국 담당 국장은 지난달 28일 바이든 대통령이 첫 의회 연설에서 북한을 '심각한 위협'으로 규정한 데 대해 2일 담화를 통해 "대단히 큰 실수", "실언"이라고 비난하면서 미국의 이른바 '대북 적대시 정책' 추구 의지가 담겨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연합뉴스에 따르면, 한국 외교부는 2일 북한의 대미 비난 담화와 관련해 "우리(한국) 정부는 한미 양국의 노력에 대한 북측의 긍정적 호응을 기대하고 있으며,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우리(한국) 정부는 한미 간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북미대화 조기 재개를 통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 달성을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