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공화당 소속 하원의원 10여 명이 북한을 다시 미국의 테러지원국 명단에 지정할 것을 촉구하는 서한을 존 케리 국무장관에게 보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국무부는 지난달 의회에 제출한 ‘2012 테러보고서’에서 이란과 시리아, 쿠바, 수단 등 4개국을 테러지원국으로 지정했지만 북한은 5년 연속 지정대상에서 제외했습니다.
이에 대해 미국 공화당 소속 하원의원 10여 명은 지난 7일 존 케리 국무장관에게 서한을 보내 북한을 다시 테러지원국 명단에 올릴 것을 촉구했습니다.
일리에나 로스-레티넌 의원은 지난 10일 자신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한 글에서 자신과 함께 10명의 공화당 동료의원이 이런 내용의 서한을 케리 장관에게 보냈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북한을 다시 테러지원국으로 지정해야 할 이유로 북한 측의 황장엽 전 노동당 비서 암살 시도와 이란, 시리아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기술 협력 등을 꼽았습니다.
로스-레티넌 의원은 특히 북한이 이란, 시리아와 같은 테러지원국과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있다면서 헤즈볼라 등 테러조직에 무기를 공급하면서 미국과 한국, 일본을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North Korea continues to cooperate with fellow SST(State Sponsor of Terrorism) regimes such as Iran and Syria, sends weapons to Hezbollah and other terrorist organizations, and continues to threaten the United States and our allies South Korea and Japan.)
그는 미국이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제외한 것은 실수라면서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해 대북제재를 활성화하고 금융기관의 대북 거래를 금지하는 등 북한의 호전성은 더 이상 용납될 수 없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북한 당국에 보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It was a mistake to take North Korea off the SST list and redesignating them will help sanction and prohibit financial institutions from doing business with this rogue regime and send a strong message to Pyongyang that its belligerence will no longer be tolerated.)
한편 국무부 측은 1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을 테러지원국에 재지정하는 문제와 관련한 국무부 측 입장에 아무런 변화도 없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에 대한 압박 수단으로 테러지원국 재지정을 거론할 순 있지만 테러지원국 재지정에는 적절한 법적 요건이 갖춰져야 한다는 설명입니다.
국무부 관리는 앞서 “법률적 측면에서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기 위해서는 미국 국무장관이 북한 정부가 반복적으로 국제테러 행위를 지원했다고 판단해야만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As a matter of law, in order for North Korea to be designated as a state sponsor of terrorism, the Secretary of State must determine that the government of North Korea has repeatedly provided support for acts of international terror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