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군사력 145개국 중 34위…한국은 5위

0:00 / 0:00

앵커 :군사력 평가기관 글로벌파이어파워가(GFP)가 최근 145개국의 군사력 순위를 비교한 결과, 북한이 34위를 차지했습니다. 36위였던 지난해보다 2순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군사력 평가기관 글로벌파이어파워(GFP)가 최근 전세계 145개국의 군사력 순위를 매긴 결과, 북한은 0.6016점을 받아 34위를 차지했습니다.

36위였던 지난해보다 2순위 상승했습니다.

GFP에 따르면 북한은 지상군에서 탱크와 자주포 그리고 다연장 로켓 발사 체계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고, 공군에서는 전투기 수와 공격기 수, 해군에서는 순시선과 잠수함 수, 군함 종류 중 하나인 프리깃함의 수, 경무장을 한 선박의 일종인 코르벳의 수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또 전체 인력 부문에서는 145개국 중 50대 순위를 달리면서 평균적인 기록을 보였는데, 세부적으로 살펴봤을 때 동원 가능한 육군의 수와 공군의 수가 각각 137만 명과 11만 명으로 상위권인 6위를 차지했습니다.

올해 역시 무기 성능보다는 수량에서 역량을 인정받은 것으로 풀이됩니다.

반면 북한은 공군의 유조선 함대 수와 해군의 함공모함과 헬리콥터 운반선 수 그리고 구축함의 수에서는 낮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이런 가운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북한군 파병이 장기화되면서 북한의 전투력이 세계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습니다.

최근 안드리 유소프 우크라이나 군사정보국 대변인은 “수십 년 만에 처음으로 북한군이 실제 전투 경험을 쌓고 있다”며 “이는 우크라이나와 유럽뿐 아니라 전 세계에 위협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유소프 대변인은 또 북한군이 자체 무기와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과 폭발물이 장착된 드론에 대처하는 방법마저 익히고 있다는 점을 우려하면서 이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조차도 경험하지 못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이는 새로운 수준의 위협”이라며 “역내 국가들은 앞으로 이것이 의미하는 바에 대해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하기도 했습니다.

0113 사진1.jpg
군사력 평가기관 글로벌파이어파워가(GFP)가 최근 145개국의 군사력을 평가한 전체 순위에서 북한이 34위를 차지했다. /글로벌파이어파워(GFP)

<관련 기사>

“북, 극초음속 미사일 기술 진전…추가 발사 나설 것” Opens in new window ]

북한군의 전투력 Opens in new window ]

이와 관련 13일 미 국방부도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이 유능한 전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한편 GFP 군사력 평가 지수 보고서에서 한국(0.1656)은 5위로 지난해와 같은 순위를 유지했습니다.

또 군사력 1위 국가에는 미국(0.0744)이 올랐고 러시아(0.0788), 중국(0.0788), 인도(0.1184)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에디터 박정우, 웹편집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