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관리 “한미일 정상회담 뒤 북 위협에 대응 빨라져”

0:00 / 0:00

앵커 : 최근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에 대한 한미일 3국의 대응이 더욱 빨라졌다며, 북한의 위협은 3자 협력을 더욱 강화한다고 미국 국무부 관리가 강조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세스 베일리 국무부 한국과장은 25일 조지워싱턴대학 한국학 연구소가 주최한 한미동맹 회의에 기조연설자로 나서 한미동맹 70주년을 기념하며, 향후 한미, 한미일 간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베일리 과장은 연설 뒤 북한의 2차 군정찰위성 발사에 대한 대응을 묻는 자유아시아방송(RFA) 질문에 더욱 신속한 대응이 있었다고 답했습니다.

그는 북한의 위성발사가 있은 직후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박진 한국 외교장관,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과 곧바로 협의를 가졌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곧바로 동맹국, 협력 대상국들과 논의해 북한의 위성발사를 규탄하는 주요 7개국(G7) 성명을 발표하는 한편 25일 오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관련 회의 소집도 계획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베일리 과장은 북한의 위협이 오히려 한미일 3자 간 협력을 강화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베일리 과장 : 3자 회담 이후 변화가 있었습니다. 매우 신속한 대응이 이뤄졌습니다. 북한의 위협은 우리의 협력을 강화할 뿐입니다.

베일리 과장은 또 한미동맹 70주년을 맞는 올해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4월 말 윤석열 한국 대통령을 국빈 초청하고, 몇 달 뒤인 지난 18일 캠프 데이비드에서 최초로 한미일 3자회담을 가진 것은 우연이 아닌 3자 협력 강화에 대한 바이든 행정부의 약속을 보여준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북한이 국제사회와 관여를 거부하고 고립주의를 유지한 채 군사우선 정책을 통한 도발을 이어가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한미동맹은 다른 협력 대상국들과 함께 북한의 위협에 공동 대응하고 있으며, 지난 한미 정상회담에서 나온 워싱턴 합의를 통해 이에 대한 약속을 재확인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베일리 과장은 북한의 도발이 지속되고 있지만 미국 정부는 북한에 대한 적대적 의도가 없으며, 전제조건 없이 언제든 대화할 준비가 돼있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한편 25일 안보리에서는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알바니아, 몰타, 에콰도르 등 안보리 이사국 7개국과 한국의 요청으로 북한의 정찰위성 재발사 논의를 위한 회의가 소집됐습니다.

이 자리에서 안보리 회원국들은 이번 발사가 탄도미사일 기술을 활용한 북한의 어떠한 발사도 금지하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중대한 위반임을 강조하고, 이를 강력 규탄했습니다.

에디터 박정우,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