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 국방부는 지난 2월부터 시작된 해외주둔 미군재편 검토(Global Posture Review, GPR)가 완료됐고 이 가운데 주한미군의 수나 규모에는 변화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 국방부 고위관리는 29일 국방부 청사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국방부가 지난 2월부터 시작된 해외주둔 미군 재편 검토 작업이 마무리됐다고 밝혔습니다.
이 관리는 이번 해외주둔 미군재편 검토가 최우선적으로 관심을 두는 지역은 인도태평양 지역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미 고위관리: 해외주둔미군재편 검토는 인도태평양 지역 내 동맹과 동반자국가들이 역내 안정에 기여하고 중국의 군사적 공격성(aggression)과 북한의 위협을 억지하는 구상들을 펼쳐나가도록 할 것입니다. (In Indo-Pacific GPR direct additional cooperation with allies and Partners to advance initiatives that contribute to Regional stability and deter Chinese military aggression and threats from North Korea.)
그는 이 구상과 관련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군사적 협력 활동을 강화하고 괌과 호주(오스트랄리아) 및 태평양 섬들에 군사적 기반시설을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관리는 이어 해외주둔미군재편 검토로 주한미군 수나 규모에서 변화가 있느냐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의에 그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밝힐 수 없지만 한국 방어에 대한 공약은 분명하다고 답했습니다. (We do not have a specific number to note today in terms of a change in Korea and we remain committed to the Mission requirement there.)
하지만 우리야 올란드(Uriah Orland) 미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기자회견 후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해외주둔미군재편 검토에서 주한미군 수나 규모에서 변화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마라 칼린(Mara Karlin) 국방부 정책담당 부차관은 이날 오후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위협을 심각히 우려하고 있지만 한국에서 미군의 방위태세는 강력하고 효과적이라며 그와 관련해 지금 발표할 변화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어 북핵 억제를 위해 한국에 핵우산을 제공하는 정책의 변화 여부를 묻는 질문에 “확장억지는 매우 중요하다”며 “관련해 어떤 변화에 대해서도 언급할 것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미 연방 하원 및 상원 군사위원회는 지난 9월에 공개한 2022 회계연도 하원 및 상원 국방수권법안(NDAA)에서 미 국방부가 해외주둔 미군재편 검토를 끝마치도록 하기 위해 구체적인 주한미군 수를 명시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그동안 미국 군사 전문가들은 국방부의 해외주둔 미군재편은 주로 증강하는 중국의 군사력에 맞서기 위한 것이고 이를 위해서는 주한미군 유지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주한미군 관련 변화는 없거나 미미할 것이라고 분석해왔습니다.
기자 이상민,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