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미국 측 대화제안에 응답 가능성 낮아”

워싱턴-김소영 kimso@rfa.org
2021.06.21
“북, 미국 측 대화제안에 응답 가능성 낮아” 북핵문제를 담당하는 미국의 성 김 대북특별대표가 21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한국의 노규덕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일본의 후나코시 다케히로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과 만나 한미일 북핵수석대표 협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앵커: 한국을 방문한 미국의 성 김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재차 북한에 대화 요청 메시지를 전했지만 북한이 이에 응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성 김 특별대표는 21일 한미일 북핵 수석대표 협의 모두발언에서 "북한이 언제 어디서든 조건 없이 만나자는 우리의 제안에 긍정적으로 반응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외교를 중심으로 하는 조 바이든 미 행정부의 대북정책을 재확인하면서 북한 쪽에 다시 공을 넘긴 겁니다.

해리 카지아니스(Harry Kazianis) 미 국가이익센터 한국 담당 국장은 2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현재 김정은 북한 총비서가 코로나 19(코로나비루스)로 타격을 입은 북한 내부 상황 정비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과 협상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카지아니스 국장은 “최근 김 총비서가 직접 북한의 식량 부족을 인정한 것을 고려했을 때 지금 김정은 정권은 과거에 비해 훨씬 큰 도전에 직면해 있다”면서 “약화된 북한 입장에서 협상할 분위기가 아닐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북한의 긍정적인 반응을 얻어내기 위해서는 그 동안 북한이 공식적으로 비난해왔던 대북제재나 미국의 대북 적대시정책을 철회해야 하는데 바이든 행정부가 먼저 이러한 조치에 나서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미북 간 교착 상태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카지아니스 국장: 미국은 결국 (과거 미 버락 오바마 행정부 당시) 전략적 인내 때와 비슷한 상황이 되는 것이고, 북한은 더 많은 핵,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만들 겁니다. 지난 30년간 미북 관계의 주기적인 부침(cycle of ups and downs)이 지속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는 다만 성 김 특별대표의 방한 중 한미일 3국 협의를 통해 북한 문제에 대한 한미일 대화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뿌리 깊은 한일 갈등으로 3국간 대화 진전에 한계는 있지만 한일관계 개선을 경시했던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 때보다는 현명한 접근법이라는 겁니다.

한편 한미일 협의가 있었던 21일 북한 주재 중국대사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 2주년을 맞아 북한 관영매체에 이례적으로 기고문을 통해 북중관계를 수호하고 공고히 하겠다고 밝히는 등 북중관계 강화에 나서는 모습입니다.

프랭크 엄(Frank Aum) 미 평화연구소(USIP) 선임 연구원은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미중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질수록 미국이 한국, 일본 등 동맹국들과 협력을 강화할 때마다 북중 양국은 이들의 끈끈한 연대를 공개적으로 과시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한미정상회담이 있은지 얼마 되지 않은 5월 말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리룡남 주중 북한대사가 중국 베이징에서 만남을 갖고, 북중 동맹관계를 재확인했다고 중국 외교부가 밝힌 것을 또 다른 사례로 들었습니다.

엄 연구원은 “한미일 고위관리 간 협의를 계기로 북중 간 긴밀한 유대 관계를 보여주는 것이 놀랍지 않다”며 “미국의 이러한 행동이 북한의 결의를 약화시키지 않을 것이란 신호를 보내는 것”이라고 풀이했습니다.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은 특히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코로나 백신과 식량 지원을 받기 위해 중국에 대한 북한의 의존도가 앞으로 더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