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참전용사들에 ‘영웅제복’...“헌신 잊지 않을 것”

0:00 / 0:00

앵커 :윤석열 한국 대통령이 한국전쟁 등에 참전했던 용사들을 초청해 오찬을 함께 했습니다. 참전 유공자들을 예우하기 위해 만든 '영웅제복'도 수여됐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14일 국가유공자와 보훈가족 190여 명을 청와대 영빈관으로 초청해 오찬을 나눈 윤석열 한국 대통령.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부인 김건희 여사와 함께 한국전쟁 참전 유공자들에게 ‘영웅제복’을 직접 입혀주며 호국 보훈의 가치를 되새겼습니다.

한국전쟁 참전 유공자회 손희원 회장과 이하영, 김창석 이사에게 제복을 전달하면서는 “이 제복에 영웅들의 희생과 헌신을 잊지 않겠다는 한국 정부의 다짐이 담겨 있다”고 말했습니다.

‘영웅제복’은 한국 국가보훈부가 참전 유공자들의 인상을 개선하고 제대로 예우하자는 뜻에서 마련한 옷으로, 이날 윤 대통령이 첫 제복을 전달한 것입니다.

윤 대통령은 인사말에서 올해가 정전 70주년이라는 점을 언급하며 “전쟁의 폐허를 딛고 눈부신 번영과 발전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공산 침략에 맞서 자유를 지켜온 호국 영령들의 피와 땀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자유 민주주의 국가를 건설하고 수호하신 분들, 나라의 주인인 국민의 안전을 위해 희생하시는 분들을 제대로 기억하고 예우하는 것이야말로 우리 모두 나라의 주인이고 주권자라는 것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보훈을 가리켜 “국민 주권주의와 자유 민주주의를 정한 헌법 정신을 실천하는 것”이라면서,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 번영을 위해 헌신한 영웅들에게 감사한다며 이들이 바로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게 했다고 사의를 나타내기도 했습니다.

이날 오찬엔 한국전쟁 참전유공자를 비롯해 18개 보훈단체 임원, 회원 170여 명과 특별초청 대상자 2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특별초청 대상에는 제2연평해전과 천안함 피격사건 등 서해수호 유족과 장병 대표가 포함됐습니다.

지난 1968년 북한 무장공비의 청와대 습격을 저지하다가 전사한 최규식 경무관의 자녀 최민석 씨와 손녀 최현정 씨, 1999년 제1연평해전의 주역 안지영 해군 대령과 허욱 해군 대령도 역대 정부 오찬 행사 최초로 초청됐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과 북한, 미국, 중국이 이른바 ‘4자 평화회담’을 열어 군사 정전체제를 평화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한국 내에서 제기됐습니다.

임동원 전 한국 통일부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6·15 남북공동선언 23주년 기념 토론회’ 기조연설에서 “한반도 핵심 과제를 포괄적·단계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추진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임동원 전 한국 통일부 장관 :더는 미루지 말고 남북, 한미, 미북이 이미 협의했고 중국도 동의한 4자 평화회담 개최를 한국이 선도해서 군사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해 나가는 과정을 시작해야 합니다.

지난 2000년 당시 김대중 한국 대통령 특사로 방북해 남북정상회담과 6·15 남북공동선언을 끌어낸 바 있는 임 전 장관은 현 시점에서의 한반도 4대 핵심 과제로 남북 관계 개선·발전, 미북 관계 정상화, 비핵화, 평화 체제 구축을 꼽았습니다.

이어 한국이 남북 관계 개선을 주도하면서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한국과 미국이 북한과의 관계를 정상화하고 핵무기가 필요하지 않은 안보 환경과 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