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방 주요국 “남북공동선언 환영, 비핵화 조치 뒤따라야”

0:00 / 0:00

앵커 :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주요 서방국가들과 미국 주요 언론들은 남북한 정상이 27일 회담에서 발표한 남북 공동선언을 환영했습니다. 하지만 비핵화를 위한 구체적인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는 입장도 밝혔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국 정부는 27일 남북 정상회담 직후 '완전한 비핵화를 통한 핵없는 한반도 실현' 등을 담은 남북 공동선언을 환영하면서도 북한은 자신이 한 약속들을 지키고 비핵화를 위한 구체적인 조치들을 취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외무장관은 이날 "남북이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를 향해 나아가는 한편, 양국 관계를 개선하고 국경에서의 긴장을 완화하기로 한 것에 대해 환영한다"고 말했습니다.

프랑스 외무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핵무기 없는 한반도를 공동 목표로 선언한 남북 공동선언 채택을 환영한다며 이 선언이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 정착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프랑스 정부는 이 선언을 통해 한반도에서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를 향한 구체적인 조치들이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독일 정부 역시 남북정상회담에 대해 '화해의 단계에 들어선 데 환영한다"고 밝혔습니다.

라이너 브로일 외무부 대변인은 이날 연방정부 기자설명회에서 "원칙적으로 우리는 북한이 한국의 손을 잡게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상징적일 뿐 아니라 실질적으로 그러기를 바란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미국 주요 언론들은 남북공동선언에서 밝힌 한반도 비핵화라는 표현에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미국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은 27일 한반도 비핵화라는 표현은 북한이 좋아하는 문구라며 이는 주한미군 철수를 조건으로 담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신문은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한반도 비핵화라는 표현은 미군의 전략적 자산을 한반도에서 철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며 이것은 미국의 국익과 반대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스 역시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한 핵폐기를 위한 확실한 기초가 제시되지 않으면 남북 공동선언의 다른 조항들은 소망으로 끝날 것이라고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신문은 이를 위해 한미 양국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구체적인 시간표를 제시하고 북한이 이를 따르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