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가정보국 “북한 등 11개국, 기후변화에 취약”

워싱턴-지정은 jij@rfa.org
2021.10.22
미 국가정보국 “북한 등 11개국, 기후변화에 취약” 2020년 8월 태풍으로 평양시내 가로수가 쓰러져 있다.
/AP

앵커: 미국 국가정보국이 북한을 이상기후 대응 능력이 취약한 국가로 분류하며, 기후변화가 북한의 식량난과 사회기반시설 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지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국가정보국(DNI)은 21일 기후변화가 국가안보에 미치는 위험성을 경고하는 보고서를 발간하며 북한 등 11개국을 이상기후 대응 취약국(Highly Vulnerable Countries of Concern)으로 지목했습니다.

보고서는 북한 등 이상기후 대응 우려 국가들이 기후변화에 취약하며 이에 대한 대응 능력 역시 부족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미 국가정보국은 우려 국가로 북한을 비롯해 아프가니스탄, 미얀마, 인도, 파키스탄, 과테말라, 아이티, 온두라스, 니카라과, 콜롬비아, 이라크 등 11개 국가를 꼽았습니다.

구체적으로 보고서는 북한의 열악한 사회기반시설과 자원 관리가 홍수와 가뭄 증가에 대한 북한의 대응 능력을 약화시킨다며, 이는 만성적인 식량 부족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계절적 이상기후의 증가로 가뭄 동안 저수용량이 줄어들 수 있으며 비가 많이 오는 계절에는 사회기반시설이 손상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보고서는 이어 북한 등 해당 국가들의 기후변화 대응 능력을 구축하는 것은 향후 미국의 국익에 대한 위험을 경감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김정은 총비서는 9월 초 노동당 정치국 회의에서 “세계적으로 재해성 기상 현상이 우심해지고 있고 우리나라에도 그 위험이 닥쳐들고 있는 상황”이라며 국토환경 관리 정책에 대해서 지적한 바 있습니다.

이에 대해 한국 국립통일교육원의 권숙도 교수는 지난달 한국환경연구원이 주최한 학술 토론회에서 김 총비서가 자연재해를 체제 위협 요인으로 인식해 기후변화 적응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권숙도 교수: 사실 고난의 행군 시기에도 가장 심각했던 위협 중 하나가 에너지난이었습니다. 그런 차원에서 본다면 (김정은 총비서가) 이러한 기후변화를 북한 체제 유지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앞서 지난 7월 미국의 민간과학 연구기관인 우드웰기후연구소 역시 보고서에서 기후변화가 북한의 체제 안정을 손상시켜 안보에 대한 위협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보고서는 또 기후변화가 북한 내 작황 감소를 야기할 수 있으며, 현재 100년에 한 번꼴로 발생하는 극심한 홍수가 2050년까지 34년에 한 번꼴로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호주(오스트랄리아) 민간 국제관계연구소인 ‘경제·평화 연구소’(IEP)도 이달 초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전 세계 178개국 중 북한 등 30개국을 가장 큰 생태학적 위협에 처한 국가로 지목했습니다.

해당 보고서는 북한 등 30개국이 기후변화를 비롯한 생태 위협에 대처하는 능력이 부족하고 자연재해 위험에 빈번히 노출돼 있다며, 구체적으로 북한은 자연재해 문제와 관련해 극도의 위협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영국 런던에 주재하는 북한 외교관들은 이달 31일부터 11월 12일까지 영국 글래스고에서 개최되는 제 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에 참석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기자 지정은, 에디터 이상민, 웹팀 최병석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