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고교 교실마다 CCTV…“한류 감시용”

0:00 / 0:00

앵커 :북한이 본보기라고 자랑한 평양의 한 신축 고등학교 교실에 감시카메라가 설치돼 있었습니다. 북한 인권 전문가는 청소년 사이에 퍼진 한류를 포함한 외국 문화를 감시하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김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최근 준공한 평양 강동군의 송가고급중학교.

조선중앙통신이 21일 공개한 교내 소개 영상에서, 교실 천장에 감시 카메라가 눈에 띕니다.

일반 교실뿐 아니라 과학실, 음악실 등 특별 교실에도 감시 카메라가 한대씩 설치되어 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21일 북한 평양 강동군 송가고급중학교의 준공식을 보도하면서 교육의 실용화와 현대화 조건이 잘 갖추어졌다며 이 학교가 본보기로 꼽혔다고 보도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강동군 송가고급중학교가 본보기 학교로 일신됐습니다. 교육의 실용화, 종합화, 현대화를 높은 수준에서 실현할 수 있게 모든 조건과 환경이 극진히 갖추어진 학교의 곳곳마다에는 당의 교육중시 정책을 지침으로 해서 사회주의 교육의 새로운 발전기를 열어나가는 데 이바지하려는…

앞으로도 북한 내 거의 모든 학교들에서 감시 카메라가 상용화될 것으로 풀이됩니다.

평양 강동군에 새로 준공된 송가고급중학교 일반 교실 모습 .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출처/조선중앙통신

미국의 민간연구기관 스팀슨센터가 지난 4월 탈북민 100명과 북한 관영매체 영상 분석을 토대로 북한 내 감시 체계를 진단한 결과, 실제로 “감시 카메라가 북한에서 보안 강화와 절도 방지 수단으로서 확산하고 있고 평양의 각급 학교들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주요 도시들에서도 눈에 띈다”고 밝혔습니다.

마틴 윌리엄스 연구원은 북한이 감시 카메라와 관련한 유용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1125 사진2.png
평양 강동군에 새로 준공된 송가고급중학교 일반 교실 모습.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출처/조선중앙통신

[윌리엄스 연구원]김일성종합대학교는 차량 번호판 인식 소프트웨어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김일성종합대학이 개발해 온 것으로, 20 밀리초(500분의 1초)안에 96%의 정확도로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는 기술입니다. 지금은 아마 신호 위반을 잡는 용도로 시작하겠지만, 북한 정권이 다른 분야로도 점점 확장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입니다.

북한 내에서 감시 카메라가 급속도로 보급되면서 주민들은 당국의 감시망을 피하기 더 어려워진 셈입니다.

북한과 가장 가까운 한국 역시 공공 감시 카메라를 보유하고 있지만, 인권 침해와 개인 정보 보호를 이유로 학교에서는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습니다.

그렉 스칼라튜 미국 북한인권위원회 사무총장은 25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에서는 더 많은 기술이 국민을 보호하고 삶을 개선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을 감시하고 통제하고 처벌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학교에 감시 카메라를 설치한 이유는 외국문화를 받아들이고 있는 청소년들을 감시하기 위해서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렉 스칼라튜] 북한은 완전한 감시 국가입니다. 이제 첨단 기술이 이 압도적인 수준의 강압, 통제, 감시, 처벌과 결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첨단 기술 감시와 교실 내 감시 카메라 사용은 젊은이들이 외국 문화, 특히 남한의 문화 유행을 받아들이는 것에 대한 북한 정권의 두려움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또 “북한 정권은 총체적인 통제, 감시, 강압, 처벌에 의존하고 있는 체제”라며 “북한의 젊은이들은 남한의 문화에 사실상 중독되어 있기 때문에 김정은 정권은 이를 권력 장악에 대한 근본적인 위협으로 간주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관련 기사>

“ 북 , 4G 통신망 도입 … 주민 통제 자신감 엿보여 ” Opens in new window ]

편리성 증대 속 감시망 촘촘 … 북 디지털화 ‘ 명암 ’ Opens in new window ]

에디터 박정우, 웹편집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