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시설 공격 모의 실험 비밀 보고서

남한 군당국은 지난 99년 북한 영변 핵시설을 공격했을 경우 한반도와 그 주변국에 미치는 피해 영향을 모의 실험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관련소식을 이규상 기자가 전합니다.

지난 1998년 북한 대포동 미사일 발사시험과 99년 금창리 지하 핵 시설의혹 등으로 한반도의 긴장이 고조 됐을 당시 남한 군 당국은 전문기관에 의뢰해 북한 핵시설을 공격했을 경우 예상 피해범위를 모의 실험했었다고 남한 조선일보가 7일 보도했습니다.

모의 실험 결과 북한 영변의 핵시설이 파괴되면 최악의 경우 한반도 전역과 중국 그리고 일본까지 방사능 피해를 입었을 것이라고 이 신문은 전했습니다.

조선일보는 모의 실험 결과 영변핵시설 반경 10킬로미터에서 50킬로미터내에 있는 사람들은 2개월 내에 사망하며, 30킬로에서 80킬로 미터지역은 낙진피해로 인해 인구의 20%정도만이 살아 남을 수 있고, 영변에서 250킬로미터 떨어진 서울까지도 방사능 피해를 입었을 것이라고 한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또 영변에서 400에서 1400킬로미터 떨어진 중국과 일본까지도 방사능 오염피해를 입을 것으로 조사됐다고 이 신문은 전했습니다. 그러나 조선일보는 한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이러한 실험결과는 최악의 시나리오며 실제 피해는 이보다 적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조선일보는 또 소식통을 인용해 노무현 남한대통령도 지난 2003년 이러한 실험결과를 보고 받았다고 전하고, 이것이 노 대통령의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 의지를 굳히는데 영향을 끼쳤다고 전했습니다.

남한국방부는 지난 99년 실제로 이러한 모의실험을 실시했는지에 대해 공식발표를 하지 않고 있다고 AP 통신은 전했습니다.

지난 1994년 클린턴 행정부 당시 미국정부는 영변핵시설 폭격을 검토하면서 예상피해 수준을 분석한바 있으나 그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공개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규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