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옌타이 한국국제학교 진입 탈북자 7명 북송

중국 당국이 자국 내 한국국제학교에 진입해 남한 행을 요구한 탈북자들을 강제로 북한으로 송환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중국 내 국제학교에 진입한 탈북자들이 북송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남한 당국은 중국 측에 공식 항의했습니다.

일가족 4명이 포함된 이들 탈북자 7명은 지난 8월 29일 교장 이취임식으로 혼란스러운 틈을 타 중국 엔타이에 위치한 한국국제학교에 진입해 남한 행을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이들은 학교 진입 3시간 만에 중국 공안에 연행됐으며 지난 9월 29일 북한으로 송환됐습니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번 엔타이 국제학교의 경우에는 남한 영사관측이 중국 당국에 탈북자 이송 협조 요청에도 불구하고 탈북자들을 연행해가는 이례적인 태도를 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금까지 탈북자들이 국제 학교에 진입할 경우, 남한 영사관이나 대사관측이 중국 당국에 협조 요청한 이후, 영사가 직접 학교를 방문해 탈북자들을 안전한 곳으로 옮기는 과정을 거쳐 왔습니다.

또 남한 외교부는 중국 측이 탈북자들을 연행한 이후 탈북자들의 신병 인도와 강제 북송 금지를 요청했지만 중국 측은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다가 지난 10월 6일 남한 당국에 탈북자들의 송환 사실만을 통보해왔다고 밝혔습니다. 정동영 남한 통일부 장관의 말입니다.

외교부는 이에 대한 항의 표시로 닝푸쿠이 주한 중국 대사를 불러 유감을 표시하고 공식 항의했으며 중국 대사를 통해 중국 외교부에도 정부의 입장을 전달했습니다.

중국 측은 이번 조치의 배경에 대해 탈북자들의 국제학교 등 진입이 늘어나 사회질서 안정 차원에 탈북자들을 북송하게 됐지만 탈북자 처리 원칙을 바꾼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고 남한 외교부 관계자는 밝혔습니다.

그러나 남한 내 탈북자 관련 단체들은 이번 사건이 탈북자 문제와 관련해 중국 당국이 강경 정책으로 돌아서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오경섭 사무총장의 말입니다.

오경섭: 탈북자들에 대한 처리가 인도적 정신에 반하지 않도록 근본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또 탈북자 문제에 대처하는 남한 정부의 미온적인 대응방식도 지적하고 나섰습니다.

이현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