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적십자 회담, 북측 이산가족 특별 상봉 제안

금강산에서 열리고 있는 제7차 남북 적십자 회담이 납북자문제와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문제 등에 대한 양측 간 입장 차이로 별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납북자와 국군포로의 생사를 확인해 달라는 남측의 요구에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회담 이틀째인 22일 북한은 6.15 남북공동선언 6주년을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자 수를 기존의 100명에서 200명으로 확대하는 특별상봉을 제안했습니다. 북측은 또 6.15와 8.15광복절을 맞아 이산가족 화상상봉을 2차례 더 실시하고 상봉자 수도 기존의 하루 40명에서 60명으로 늘리자고 제안했습니다.

남한 측은 이산가족 화상상봉과 대면상봉의 정례화와 우편물 교환 그리고 규모 확대를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북측은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우편물 교환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 반응으로 보이지 않았습니다.

남한 측은 또 북측에 납북자와 국군포로의 생사확인을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북측은 이산가족 상봉 범위 내에서 생사확인과 상봉을 실시하자는 기존의 입장을 고수했습니다. 남측 회담 관계자가 이 문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는 남한 당국의 입장을 표명한데 대해 북측은 아직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특히 북측은 남한의 국가보안법을 이산가족 생사확인의 장애요인으로 거론하며 국가보안법의 폐지를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남북은 회담 마지막인 23일 구체적인 합의문 작성을 위해 의견을 조율할 예정입니다.

이수경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