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북한의 7.1 경제관리개선조치 이후 북한 내 실업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으며, 물가까지 폭등하고 있어 주민들의 생활고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세계식량계획과 세계농업기구는 11월 22일 작성한 보고서에서 북한에서 노동자들의 실직 내지 불완전 고용률은 30퍼센트까지 올라갔다면서 그 같이 전했습니다.
지난 9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세계식량계획과 세계농업기구가 공동으로 실시한 북한 현지 공동실사 자료에 따르면, 7.1경제관리개선조치 이후 북한 내 공장들과 회사들은 정부로 부터의 보조금이 중단되고 또 자체적 능력으로 이익을 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따라 북한 내 여러 공장들이 문을 닫거나 생산능력을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나마 운영이 되고 있는 공장에서도 이익을 내기 힘들어 노동자들에 대한 월급을 삭감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전했습니다. 특히 북한에서의 여성취업비율은 다른 국가 평균치보다 높은 90퍼센트 정도를 보였으나 최근 들어서는 그 비율이 계속해서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내 저 소득층 노동자들의 월 소득은 평균 2천100원, 그리고 협동농장원들의 월 소득은 500원에서 4천원, 그리고 광산과 발전소 노동자들은 5,200원에서 12,000원 정도의 월급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한의 저소득층 노동자들은 월급 2,100원을 받아 이중 3분의 1일로 배급 곡물을 사고 또 다른 3분의 1을 식량 외 다른 생활비로 쓰게 되면, 옥수수 2.5킬로에서 5킬로그램을 살 수 있는 돈만 남게 되는 실정이라고 이 보고서는 전했습니다.
또 부족한 식량을 충당하기 위해 주민들은 농촌 친척들의 도움을 받거나, 텃밭에 소규모 경작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이 보고서는 전했습니다.
이규상기자
관련 기사
[회견] 7.1 경제관리개선조치 1년후 - 물가, 임금인상조치 <;이규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