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 민간단체, 북에 국군포로. 납북자 송환 촉구
2005.08.17
남북이 23일부터 금강산에서 열릴 제6차 적십자회담에서 국군포로와 납북자 송환문제를 협의할 예정입니다. 이런 가운데 남한의 납북자관련 민간단체들이 남한 정부에 이번 회담에서 납북자문제를 북측에 강력히 제기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피랍탈북인권연대와 납북자가족모임은 이번 남북 적십자 회담에서 국군포로와 납북자 송환 문제가 정식으로 논의되는 만큼 이들의 송환문제가 일괄타결 될 수 있도록 정부가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 줄 것을 재차 촉구한다는 입장입니다.
또 이를 위해서는 북한의 납북사실 시인이 전제돼야 한다고 보고 남한 정부가 이 문제를 이번 회담에서 북측에 강력히 제기할 것도 촉구할 계획입니다. 피랍탈북인권연대 도희윤 사무총장의 말입니다.
도희윤: 전쟁이라는 것은 특수한 상황이잖습니까. 특수한 상황에 생사를 모르는, 행방불명 된 자라고 표현했던 부분은 납북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다는 얘기거든요.
피랍탈북인권연대 측은 18일 남한 적십자사를 방문해 이번 회담에서 남측이 제기할 의제 등을 확인하고 납북자 가족들의 입장을 전달할 계획입니다.
이와 관련해 도 사무총장은 장석준 남측 적십자사 수석대표와 면담을 통해 국군포로의 경우, 대부분이 고령자임을 감안해 민간 차원에서 개별적으로 데려올 것이 아니라 정부가 이들의 송환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도희윤: 북한 측에서 국군포로 문제를 가지고 다른 방공포로 등의 문제를 제기 해왔을 때 그에 대응하는 우리 정부의 입장은 무엇인지 확인할 것이고요. 납북자 문제도 마찬가지입니다.
북한에서 계속 납북자가 없다고 얘기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가 어떤 구체적인 자료로서 그 부분을 대응해 나갈 것인지 이런 것들을 협의하고 문제제기하고 그럴 예정입니다.
남북은 지난 6월 제15차 장관급 회담에서 국군포로 문제를 공동 보도문에 포함시켰습니다. 전쟁 시기에 생사를 알 수 없게 된 사람들의 생사를 확인 등의 인도주의 문제들을 협의한다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해 남한 통일부 관계자는 이번 적십자 회담을 통해 전쟁 중은 물론이고 전쟁 이후 행방불명자까지 논의에 포함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한편 남한 정부는 현재 북한에 생존해 있는 국군포로는 538명, 또 전후 납북자는 486명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이진서기자
관련 정보
- 납북어부, 노모와 30년 만에 상봉
- 남북 적십자 회담서 국군포로. 납북자문제 협의 예정
- 남한 인사 200여명, 북한인권 선언문 발표
- 국제의원연맹, 납북자문제 국제연대 강화
- 장교출신 국군포로 52년 만에 남한 행 기다려
- 미 하원 국제관계위원회, 북 납치 규탄 결의안 채택
- 남북한, 8월 적십자 회담서 국군포로 협의 시작
- 국군포로 일가족 탈북, 일부는 남한입국
- 남한 시민단체, 남한 특수요원 포함된 북한 내부 명단 입수, 공개
- 미 하원 국제관계위원장, 북한 납치 행위 규탄 결의안 제출
- 탈북 국군포로, 미 의회 증언서 국군포로 조속송환 촉구
- 남한, 중국체류 탈북 국군포로들 송환 협상 중
- 납북어부 37명 단체사진 입수
- 납북단체들, 중국대사관 앞서 북송국군포로 송환촉구시위
- 남한 정부, 국군 포로 북송에 대해 중국 정부에 유감 표명
- 중국 정부, 남한에 국군포로 북송 통보
- 시민단체 관계자, 중국에 다수의 국군 포로 있어
- 탈북 국군포로 중국 공안에 체포
- 시민단체 단체, 김동식 목사 송환 대책 요구
- 국군포로 손자들 국경 넘다 중국공안에 체포
- 국군포로 1명 남한으로 귀환
- 탈북자지원 비정부단체, 탈북자등 국감에서 증언
- 남한 국방부, 국군포로 북 자녀 지원 검토
- 일본인 납치자 5명 귀국 2년 맞아
- 일, 3차 실무자회의 11월 9일 평양에서 열릴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