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 납북자가족단체, 장관급회담장서 납북자송환 촉구집회 계획
2005.11.29
남한의 납북자가족 단체들이 내달 남한 제주도에서 열리는 제17차 남북 장관급회담장에서 납북자의 송환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일 계획입니다.
남한의 탈북자 지원단체인 피랍탈북인권연대 도희윤 사무총장은 납북어부 허정수 씨의 가족과 거제도 일대에 살고 있는 납북어부 가족 그리고 민간단체 관계자 등이 장관급회담이 열리는 제주도 인근에 상주하면서 국군포로와 납북자의 송환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일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도희윤: 납북자 형제들이 지금 한명은 북한에 의해 사망을 했고 또 한명은 고문의 후유증으로 고생을 하고 있습니다. 그 내용이 우리 언론에 공개가 됐는데 우리 정부는 이 문제에 대해서 아무런 언급도 하질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제주도에서 열리는 장관급 회담에서 그 당사자인 가족들과 납북자 가족들이 함께 납북자 송환과 그 문제에 대한 북한 당국의 사과를 촉구하는 그런 행사를 진행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도 사무총장은 특히 지난 1975년 동해상에서 오징어잡이 배 천왕호를 타고 출어했다가 납북됐던 선원 허정수 씨가 남한의 동생 앞으로 보낸 온 편지와 사진 등을 시위 현장에 전시할 것이라며 정동영 남한 통일부 장관은 국군포로와 납북자 송환을 북한 대표에게 촉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도희윤: 이 문제는 편지까지 우리 가족한테 와 있는 상황이고 그들이 간절히 자기들을 구명해 주길 원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것이 단지 한 가족의 문제만이 아니라 우리 납북자 가족들의 공통된 마음이라고 여겨집니다.
이 문제를 우리 정부가 외면하고 있는 것은 국민보호라는 차원에서 한심한 노릇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 문제를 하나의 케이스로 이번 남북 장관급 회담에서 분명히 제기를 하고 국제사회를 대상으로 해서 공식화 할 예정이고 많은 분들의 관심을 촉구할 예정입니다.
한편 정동영 장관은 지난 9월 제16차 장관급회담 이후 이산가족상봉과 장관급회담의 정례화에는 어느 정도 성과를 거뒀다며 국군포로와 납북자문제는 적십자 회담을 통해 꾸준히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남한 정부는 그러나 비전향장기수의 북송과 납북자의 송환을 연계해야 한다는 일부 단체들의 주장에 대해서는 수용이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남한 통일부와 국방부는 6.25전쟁 후 납북자는 485명이며 북한에 생존해 있는 국군포로는 546명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진서기자
관련 정보
- 남 인권단체들, 북한정치범수용소해체 기자회견
- 미 하원 국제관계위원장, 납북자 송환 촉구
- 납북자 무사귀환을 위한 노란 손수건 달기 운동 확산
- 북한인권 특별보고관 “북한 납북자문제 해결해야”
- 남한 통일부, 행자부 납북자 문제 떠넘기기
- 남한 행자부, 납북자 지원 담당
- 11월 1일 납북자 송환 촉구대회 개최
- 남 통일부 차관 “납북자 문제 남북대화 공식 의제로 다뤄야”
- 국군 포로 546명 가운데 16명만 생사 확인
- 남한 납북자 지원단체 “장기수 송환, 납북자문제와 연계해야”
- 남, 비전향장기수 송환 원칙. 기준 마련
- 남 납북자가족대표 북으로부터 테러 위협
- 남북 장관급 회담- 이산가족 연내 추가 상봉 등 6개 합의
- 남, 장관급 회담서 북측에 미 메시지 전달
- 남한 정부 - 장관급 회담서 금강산 관광 문제 제기
- 남북 장관급 회담 평양서 개막
- 남, 장관급회담서 북에 평화체제 문제 논의 제의
- 한나라당, 남북피해자 관련 특별법 마련 중
- 한나라당, 납북피해자 입법 공청회
- 남한 납북자단체들, 납북관련 특별법 제정 촉구
- 남한 경찰, 보수단체 밀착 감시 논란
- 남한 민간단체, 북에 국군포로. 납북자 송환 촉구
- 남한 인사 200여명, 북한인권 선언문 발표
- 장교출신 국군포로 52년 만에 남한 행 기다려
- 정동영 장관 방미, 남북 장관급회담 결과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