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미국과 6자회담과는 별도로 미국의 대북 금융제재 문제를 논의하는 두 번째 양자 실무회의를 열었습니다. 미국 측은 이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북한의 불법 금융행위 문제 규명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의 대북금융제재 문제 해결을 위한 북미간 실무회의가 20일 주중 북한 대사관에서 이틀째 속개됐습니다. 5시간의 걸친 회담을 마친 후 미국 측 금융제재 실무회담 대표인 대니얼 글레이저 미 재무부 부차관보는 이번 회의는 사무적이고 유익했지만 문제 해결의 돌파구는 없었으며 이번 6자회담 기간 동안 더 이상의 회의계획이 없지만 다음 달 뉴욕에서 회담이 속개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 문제의 유익하고 생산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그간 북한의 불법금융행위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내년 1월 뉴욕에서 북한 측과 협상이 계속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두 나라는 이 날 회의에서 미국 재무부 조치로 인해 마카오 방코델타아시아 은행에 동결돼 있는 북한 자금의 해제문제를 주로 논의했고 또 북한의 위폐제조와 돈세탁 문제 등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틀째 회담에 앞서 미국 측 금융제재 실무회담 대표인 대니얼 글레이저 미 재무부 부차관보는 북한의 불법행위로 비롯된 이 문제는 국제 금융계에 잠재적인(underlying) 우려사안이라면서 문제 해결에 반드시 장기적인 절차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간 미국 측은 북한의 위조달러 문제 등은 법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핵문제와는 관련이 없으며 정치적 협상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을 견지해왔습니다.
하지만 북한 측은 여전히 미국의 대북금융제재 해제 문제를 핵폐기의 전제조건으로 주장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미국이 요구하고 있는 핵폐기 초기이행조치와 상응조치를 담은 이른바 '공식제안'과 관련해 마카오 방코델타아시아 은행의 북한 동결계좌를 해제하면 그 제안의 일부 조치를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앞서 북한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은 북한의 핵폐기 방안을 논의하기에 앞서 북한에 대한 제재문제가 먼저 해결되어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한 바 있습니다.
워싱턴-양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