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소망

새해 첫날인 1일 오전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산성 정상에서 주민들이 일출을 보며 한해 무사안녕을 기원하고 있다.
새해 첫날인 1일 오전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산성 정상에서 주민들이 일출을 보며 한해 무사안녕을 기원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0:00 / 0:00

탈북자 박소연의 세상 밖으로!

무산 출신 박소연 씨는 2011년 11월, 남한에 도착해 올해 남한 생활 4년 차를 맞고 있습니다. 2012년 아들을 데려와 혼자서 키우는 열혈 '워킹맘' 그러니까 일하는 엄마입니다.

<세상 밖으로> 이 시간에는 남한 정착 9년 차 자강도 출신 문성휘 기자와 함께 박소연 씨의 남한 적응기를 하나하나 따라 가봅니다.

INS - 그냥 지금처럼, 작년처럼 직장 다니고, 월급 타고, 적금 넣고, 고향에 돈 보내주고 이랬으면 좋겠어요. 저는 그게 소원이에요.

남한에서 1월 1일은 양력설이라서 북한처럼 명절 느낌은 없습니다. 하지만 새 달력을 펼치듯 새해를 시작하는 마음으로 한 해 소원을 빌기도 하고, 크고 작은 계획을 세우곤 합니다. 올해는 내 집을 마련했으면 좋겠다, 시험에 합격했으면 좋겠다, 올해는 살을 빼겠다, 운동을 하겠다 등등 저마다 크고 작은 바람을 소망해 보는데요. 해가 바뀌어서 2015년, 남한 생활 4년 차를 맞은 소연 씨는 의외로 바라는 게 소박한 것 같습니다. 남한에서 맞은 소연 씨의 새해, 자세한 얘기는 직접 들어보시죠.

진행자 : 안녕하세요.

문성휘, 박소연 : 안녕하세요.

진행자 : 해가 바뀌었습니다.

박소연 : 문 기자님, 우리 북한식으로 인사해 봐요. "작년에 보고 처음 보네요."

문성휘 : 아, 맞다! 작년에 보고 처음 보네(웃음).

진행자 : 아, 그렇게 인사하는 거예요? "작년에 보고 처음 보네요!"

진행자 : 남한에서는 1월 1일이 되면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부자 되세요. 대박나세요.' 이런 인사말을 많이 하는데 북한에서도 그런 인사말이 있나요?

박소연 : 네, '올해는 떼돈 벌어라. 올해는 쉬 붙어라.' 운이 따르라는 말이에요. 그리고 직장에서는 특히 남자들이 하늘을 쳐다보면서 '하늘에서 돈 마대가 뚝 떨어져서 그 밑에 깔려 죽어도 원이 없겠다.'고 말해요. 자기는 죽어도 가족이라도 잘 살라고. 재밌으면서도 슬프죠. 항상 가족이 못 먹고 못 사니까 설날 아침에 농담이지만 그렇게 인사해요.

문성휘 : 설날은 새벽부터 분주해요. 남한에서는 늦잠을 자도 되지만, 북한에서는 어버이 수령님 동상에 무조건 가야 하거든요. 직장별로, 조직별로, 집에 있는 사람들은 인민반에서 모여서 가요. 그러니까 그날은 아침부터 여자들은 화장하고, 아이들도 다 옷을 입혀서 준비해야 해요. 새벽에 떨며 나가서 자기 순서를 기다리는 게 정말 지루한데, 한편으로는 거기에 가면 따로 모이지 않아도 사람들을 다 만날 수 있어요. 북한이 일부러 동상을 만들어 놓고 사람들 모여서 놀라고 한 건가 싶기도 하고(웃음).

박소연 : 남자들이 저렇게 철이 없어요. 저희는 남편들이 나갈 때 그래요. '달고 오지 말라'고. 손님들 끌고 와서 명절 음식을 다 먹으면 내 자식들이 많이 못 먹잖아요.

진행자 : 그런 부분은 남한도 비슷한 것 같아요.

박소연 : 먹을 게 많은 남한에서 왜요.

진행자 : 손님 시중을 들어야 하잖아요. 손님치레를 해야 하니까.

박소연 : 북한 여자한테 그건 일도 아니에요. 먹을 것만 많으면 돼요.

문성휘 : 남한에는 1차, 2차, 3차 이런 게 있잖아요. 대게 1차는 밥 먹고 술 마시고, 2차는 맥주 마시며 닭튀김을 먹고, 3차는 노래방이잖아요. 북한에도 그런 게 있어요. 그런데 북한에서는 1차를 면해야 해요. 1차로 들어간 집은 설날 음식이 바닥나거든요.

진행자 : 남한에서는 연말에 술자리가 굉장히 많은데 북한에서는 음식이 있기 때문에 설날에 훨씬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군요. 남한은 1월 1일이 그렇게 큰 의미가 없어서 생각들이 많이 날 것 같아요.

문성휘 : 그렇죠. 북한은 설이다 하면 가슴이 마구 뛰어요. 설날엔 아무리 못 사는 사람이라도 고기 1kg은 마련해요. 왜냐면 '설날에 잘 먹어야 1년 내 잘 먹는다, 설날에 기분 좋아야 1년 내 기분 좋다, 그리고 설날에 울면 1년 내 운다.'는 말이 있거든요. 그래서 어떡하든 설날에 기분 좋게 잘 지내려고 해요. 그러니까 설날이 정말 기다려지고, 기분이 막 뜨는 거예요. 잘 먹고, 술도 마시고, 고기도 어쩌다 먹게 되니까. 남한은 밋밋하죠. 음식도 똑같고.

그런데 우리가 지났으니까 이렇게 재밌게 얘기하지, 당하는 입장이라면 화가 나죠. 1월이 되면 이틀 휴가를 주거든요. 그런데 설 전에 미리 인분 같은 거름을 마대에 넣어둬요. 설이 지나면 그걸 썰매에 싣고 가까운 협동 농장에 바쳐야 하거든요. 거기에서 해방된 느낌, 그 해방감은 우리밖에 모를 거예요.

박소연 : 북한은 설 이틀 새고 1월 3일부터 막말로 똥으로 시작해서 12월 말까지 똥으로 끝나요. 인분 전투. 문 기자님 말씀하신 것처럼 1월 1일에서 2일은 정말 좋아요. 배 똥똥하게 먹고, 막 설사해도 좋아요. 배불리 먹고 설사하는 건 좋아요. 그런데 1월 2일 저녁이 되면 오만상이 찌푸려져요. 내일이면 또 어떻게 찬 데 나가서 인분을 모을까. 그런데 남한에 오니까 그냥 출근하면 되는 거예요. 그러니까 다른 세상 같고, 아주 좋아요.

진행자 : 남한에서 1월 1일은 특별한 게 없죠, 음력설이 따로 있으니까. 대신 1월 1일이면 새해 첫 날이니까 다짐들을 하잖아요. 올 한 해는 살을 빼겠다, 금연을 하겠다, 영어나 뭔가 공부를 해보겠다. 이렇게 새해 계획들을 많이 세웁니다. 그래서 헬스클럽이라고 동네마다 있는 운동시설 있잖아요. 등록률이 가장 높은 달이 1월이라고 합니다. 너도나도 운동하겠다고 거기에 돈을 내서.

박소연 : 그럼 문 기자님은 올해 어떤 결의를 하셨어요?

진행자 : 그러게요. 아마 담배 끊는 거 아닐까요?

문성휘 : 내 결심을 꼭 알고 싶어요? 담배, 술 끊는 건 아무것도 아니고요. 진짜 내 소원을 말하라면 우선 로또(복권) 당첨되는 거. 북한 복권은 의미가 없어요. 중고 텔레비전 하나 갖다 놓고, 정작 당첨이 돼도 쓸모가 없잖아요. 그런데 남한에서 복권 당첨되면 팔자 고치죠.

진행자 : 소원 말고요. 결심이요.

문성휘 : 술도 끊어야겠고, 여러 가지가 많은데 무엇보다 어깨가 무거워져요. 이제 애들이 커 가고 나도 안정을 찾다 보니까 조금 두려운 게 있어요. 북한에서는 예전부터 그릇을 차곡차곡 모으잖아요. 애들 결혼식 준비를 한꺼번에 못하니까 어릴 때부터 그릇을 모아요. 나도 지난해까지는 흥청망청 썼는데, 이제는 좀 모아야겠다. 애들이 다 커서.

진행자 : 남한에서 결혼할 때 돈이 무척 많이 들거든요. 그래서 뭔가 긴축재정이라고 해야 할까요? 절약하시겠다는 거죠?

문성휘 : 그렇죠, 저축도 많이 해야 하고요.

박소연 : 저는 올해 소원이 그거예요. 그냥 지금처럼, 작년처럼 직장 다니고, 월급 타고, 적금 넣고, 고향에 돈 보내주고 이랬으면 좋겠어요. 아프지 말고, 우리 아들 우유 많이 먹고 무럭무럭 크고. 저는 그게 소원이에요.

진행자 : 북한에서 시집보내려고 어렸을 때부터 그릇 모은다고 하셨잖아요. 저희 어머니도 제가 대학 졸업하고부터 예쁜 그릇들을 사 모으시던데, 10년이 지나도 결혼을 안 하니까 유행이 다 지났다고 그냥 꺼내서 쓰시더라고요(웃음). 그럼 저는 올해 계획을 시집가는 걸로 할까요?

박소연 : 그렇잖아 제가 물어보려고 했어요. 윤 기자님은 올해 결의가 뭐냐고.

진행자 : 저는 올해 시집까지는 힘들 것 같고, 결혼할 사람을 만나는 걸로 정할게요.

문성휘 : 북한 말이 있잖아요. 즙즐하면 먹어라. 웬만하면 살라는 말이죠. 북한에서는 눈 높은 사람들이 결혼을 못한다, 더 불행하다고 해요. 그런데 남한 같은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그런 개념이 안 통하더라고요.

진행자 : 아니에요. 괜찮은 남자들은 다 외계인이 잡아갔나 싶어요(웃음).

문성휘 : 그래서 하는 말이에요. 즙즐하면 먹어라. 옛날부터 남자는 다 즙즐했어요. 그런데 뭔가 완벽한 걸 고르려고 하니까 자꾸 나이를 먹는 거예요. 그러니까 올해는 즙즐한 사람, 평범하고 소박한 사람을 골라요.

진행자 : 알겠습니다(웃음).

박소연 : 아니 그런데 왜 윤 기자님 결심을 우리 둘이 알아서 해요? 참 이상하네요(웃음).

문성휘 : 아니 중이 제 머리를 못 깎는다고 했잖아요. 그러니까 우리가 일조해야죠.

박소연 : 그런데 여기 앉아 이렇게 얘기를 하다 보니까 '아, 내가 참 행복하구나!' 왜냐하면 제가 겨울에 탈북 했거든요. 제가 탈북하기 전이 딱 이맘때였는데 시장에 가서 아버지한테 양말을 사드리려니까 빨간 양말이 없더라고요. 남자는 빨간 양말이 없더라고요. 중국에서 넘어온 게. 그래서 권색(감색) 양말인데 격자무늬가 있는 걸로 사 드리고. 엄마, 동생도 다 빨간 양말을 샀는데, 엄마한테는 빨간 팬티도 사드렸어요. 빨간 팬티가 돈과 행운을 의미해요, 그리고 앓지 말라. 그게 마지막 선물이었어요. 우리는 고작 해줘야 양말이었어요. 그런데 지금은... 과거는 다 잊으라고 하잖아요. 자꾸 옛날 생각을 하면 울게 되니까... 마음이 짠하죠.

진행자 : 이맘때 오셔서 더 생각이 나시나 봐요.

문성휘 : 그러겠네요.

진행자 : 네, 올해가 양띠 해라고 하는데요. 양은 뭔가 따뜻하고 온화한 느낌이 있잖아요. 2015년 올 한 해도 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하시고, 행복하게 지내시기 바랍니다.

박소연 : 네, 저희도 행복하고, 이 방송 듣는 북한 인민들도 행복했으면 좋겠어요.

문성휘 : 모든 사람들이 털이 탐스러운 양들처럼 따뜻한 한 해가 됐으면 합니다.

진행자 : 저희 그럼 다 같이 인사할까요?

모두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을미년 올해는 푸른 털의 양, '청양의 해'라고 합니다.

청양은 한반도에서는 보기 어렵지만, 실제로 히말라야 같은 고산지대에서는 볼 수 있다고 해요. 북한에서는 양이 심술이 있다고 하지만 대부분은 온순한 성격 때문에 평화와 희생의 상징으로 여겨지죠. 또 은혜를 아는 효의 동물, 복을 불러오는 영물이라고도 하는데요.

새해 여러분은 어떤 소망을 품으셨나요? 양처럼 온순하고 평화롭고 복이 있는 한 해, 소연 씨가 소박하게 바라는, 그리고 누구나 희망하는 한 해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런 한 해 기원하면서 저는 인사드릴게요. 지금까지 진행에 윤하정이었습니다. 청취자 여러분,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