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호 칼럼: 남·북한은 중국의 ‘역사 침탈’에 적극 대응해야


2006.09.11

요즘 속속 들어나고 있는 중국의 한민족사 침탈은 사태의 심각성과 급박함을 보여준다. 중국의 사회과학원은 이른바 ‘동북공정’이란 사업을 통해 고조선과 부여 고구려 발해를 중국의 지방정권이라는 ‘역사왜곡·’을 기도하더니 이번엔 더 나아가 고대 중국의 영토가 “한반도 한강 유역까지 확대됐다”는 참으로 황당한 논문을 내놓았다. 즉 북한지역을 포함해 한강 이북지역 까지 중국 영토라며 연고권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동북공정‘의 일환으로 백두산까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단독 등록을 시도하고 있으며 오는 2018년 제 25회 세계동계올림픽을 백두산에 유치할 계획으로 대대적인 백두산 개발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 이쯤 되면 역사왜곡이 아니라, 역사침탈 행위로 보아야 한다. 중국이 일본의 역사 왜곡에 대해 분노하고 항의하면서 정작 그들 자신은 황당하기 짝이 없는 역사 침탈을 기도하고 있으니 이를 어떻게 보아야 하는 것일까.

중국은 “고조선 부여 고구려 발해가 중국사의 일부‘라는 동북공정의 내용을 상당수의 대학 역사교재에 그대로 싣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중국은 이 같은 역사 침탈에 분노하는 한국 국민에 대해 이는 어디까지나 연구기관의 연구사업일 뿐이며 중국정부의 공식 입장이 아니라는 답변을 하고 있다. 그러나 동북공정을 주도하고 있는 사회과학원 변강사지 연구중심은 국무원 산하 기관으로 사회과학원내 대표적 전략연구소다.

더구나 동북공정 사업엔 중앙 정부에서 막대한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는 분명히 정부차원의 사업이 아니고 무엇인가. 지난 2002년부터 동북공정을 추진해 온 중국은 한국이 고대사를 중국역사로 편입시키는 데 대해 항의하자, “중국정부는 한국정부의 우려를 이해하고 필요한 조치를 한다”고 한국과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그 이후로도 계속 진행되고 있는 조직적 역사침탈은 한·중간 합의를 처음부터 무시한 것이며 합의는 일시적 호도 책이었음이 드러났다.

그렇다면 중국이 이 같은 역사 침탈을 기도하고 있는 의도는 무엇일까. 여러 해석이 나오고 있다 예컨대 장차 남·북한의 통일에 대비해 북한지역에 대한 지배권 내지 영향력을 높이려는 사전 포석이라든가, 한민족의 고토인 간도와 만주일대에 대해 장차 한국이 영유권을 꺼내지 못하게 사전 차단해 놓으려는 기도, 특히 백두산 세계유산 등록이 남북한 통일에 대비해 영유권을 확보해 놓으려는 속셈 등등 이다.

그러나 우리가 중국의 이 어마어마한 타국 역사 침탈에서 보는 것은 중국이 그동안 억제해 온 패권주의를 서서히 드러내고 있다는 사실이다. 즉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의 절대적 지배력을 확보해 나가려는 기도라고 볼 수밖에 없다. 패권주의를 추구하지 않는다는 말은 위장된 구호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면 이 같은 중국의 역사 침탈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 것인가. 지금 까지 한국정부가 보인 태도는 중국정부의 변명을 그대로 받아들여 변변한 항의조차 제기하지 못했다. 그보다 6자회담등 한·중 관계에 미칠 영향에만 지나치게 신경을 쓰는 듯 보였다. 그러나 6자회담과 역사 침탈은 전혀 다른 문제다. 마땅히 항의 할 것은 항의하고 잘못된 것은 시정 받도록 해야 한다.

그런데 한민족의 고토를 잃고 백두산과 북한지역에 대한 과거 영토권까지 주장하고 있는 중국에 대해 북한이 왜 아무 말도 않고 있는 것인지 알 수 없다. 북한은 무엇보다 ‘주체’를 내세우고 있지 않은가. 지금이라도 남·북한은 중국의 역사 침탈을 막기 위한 긴급 남·북 대책회의를 갖고 공동 대책을 마련해 적극 대응해 나가야 한다. 이 문제는 한민족 역사와 정체성의 문제다. 남·북한은 중국의 역사 침탈을 국제사회와 국제기구에도 알려 국제사회의 호응과 지지를 얻도록 노력해야 한다. (2006. 9.10)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