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안보리서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즉각 송환’ 촉구해야”
2024.06.12
앵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 인권 문제를 의제로 회의를 엽니다. 북한인권단체들은 한국이 이번 회의에서 북한에 한국인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즉각 송환을 통한 문제 해결을 촉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현지시간으로 12일 북한 인권 문제를 의제로 공식 회의를 개최합니다.
유엔 안보리 차원의 북한 인권 회의가 열리기는 지난해 8월 이후 약 10개월 만입니다.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등 8개 북한인권단체들과 지난 2013년부터 북한에 구금 중인 김정욱 선교사의 형 김정삼 씨는 이날 조태열 한국 외교장관에게 서한을 보내고 한국이 이번 회의에서 북한에 한국인 납북자, 억류자, 국군포로 즉각 송환을 통한 문제 해결을 촉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회의에 참석하는 주유엔한국대표부 관계자들이 국군포로, 납북자, 억류자 전원을 가족과 한국의 품으로 돌아오게 만들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는 물망초 배지를 착용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이에 더해 향후 유엔 안보리에서 개최되는 북한 인권 회의에서 납북자, 억류자, 국군포로 가족이 발언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단체들은 또 한국이 안보리 순회 의장국으로 활동하는 이달 중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문제 등 북한 인권 문제를 어떻게 제기할 것인지에 대해 한국 정부의 설명을 들은 바 없다며 유엔에서의 북한인권 문제 논의와 관련 면담을 요청했습니다.
한국의 인권조사기록단체인 전환기정의워킹그룹의 신희석 법률분석관은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통화에서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문제는 자국민의 생명 보호에 관한 문제인 만큼 한국 정부가 유엔 등 국제무대에서 더 적극적으로 이 문제를 제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신희석 전환기정의워킹그룹 법률분석관: 북한과 안보 문제로 첨예하게 대립하더라도 자국민의 생명보호는 국가의 존재 이유에 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국 정부도 좀 더 적극적으로 문제 제기를 해야 합니다. 그 일환으로 상징적일 수도 있지만 안보리 회의 때도 납북자, 억류자, 국군포로 문제를 더 적극적으로 제기해 달라 그런 취지입니다.
또 이 문제의 국제적 공론화를 위해선 피해자 가족 단체, 북한인권단체 등과 협의하고 이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피해자 중심의 접근을 취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앞서 황준국 주유엔한국대사는 지난 3일 유엔 주재 기자단 브리핑에서 북한의 조직적인 인권 침해가 국제평화와 안보에 미치는 잠재적인 위협을 안보리가 무시해서는 안 된다고 말하며 이와 관련해 안보리 의장국 임기 중 공개 회의를 열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유엔 안보리는 2014년에서 2017년까지 매년 북한인권 회의를 개최했으며 지난해 8월 이를 6년 만에 재개한 바 있습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