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블라디보스톡 북 외교관 가족 탈북 가능성

0:00 / 0:00

앵커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북한 외교관의 가족이 이틀째 실종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국경 개방의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그 시기 전 탈북했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박재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근무하던 북한 외교관의 가족이 실종된 건 지난 4일.

김금순(43세), 박권주(15세)로 알려진 이들은 모자 사이로 블라디보스토크 북한 총영사관에 파견된 무역대표부 소속 직원 박 모 씨의 아내와 아들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들은 지난 4일 택시를 탄 뒤 총영사관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넵스카야 거리’에서 내린 뒤 연락이 끊겼습니다.

당시 이들은 전화기를 소지하지 않은 채 극장 앞에서 내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총영사관 측은 이들과 연락이 닿지 않자 러시아 당국에 신고했습니다.

현지 소식통(신변안전을 위해 익명 요청)은 6일 RFA 자유아시아방송에 북한 외교관 가족이 사라졌다는 소문이 현지에서 퍼지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외교관 신분인 남편은 사라진 가족들과 함께 움직이진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러시아 현지 언론도 6일 이들의 얼굴이 인쇄된 실종 전단을 공개하면서 이날까지 행방이 묘연하다고 전했습니다.

블라디보스토크.jpeg
사진은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의 북한 총영사관 전경. /블라디보스토크시

연해주 ‘실종자 소식’ 전단에 따르면 ‘사람을 찾습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이들의 나이(1980년생, 2008년생), 인상착의 등이 공개됐습니다.

그러면서 “2023년 6월 4일에 넵스카야 12가 주소의 북한 총영사관에서 떠났다”라며 “현재까지 행방불명인 상황”이라고 적시했습니다.

마지막 부분에는 “이 사람의 행방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아래(경찰)로 전화바람”이라는 문구가 포함됐습니다.

북한 총영사관 측은 이들 외교관 가족이 실종됐다고 러시아 당국에 신고했지만, 북한 국경이 개방되기 전 탈북을 감행했을 가능성도 조심스레 제기됩니다.

최근 블라디보스토크를 방문했던 강동완 동아대 교수는 6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 통화에서“블라디보스토크에서 직접 만난 북한 노동자들은 열악한 상황에 처해있어 상당히 동요하고 있는 상황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러시아에서는 북한 국경이 열려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항공편이 열린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라며“그렇게 된다면 북한 노동자나 외교관 가족들은 북한으로 들어갈 가능성이 높은데, 만약 탈북을 감행했다면 북한을 벗어날 기회가 지금밖에 없다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지난 2016년에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북한 무역대표부 소속으로 나와있던 외교관이 탈북하기도 했습니다.

에디터 박정우,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