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입국 선교사, 강제귀국

남한 정부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라크에 불법 입국해 선교 활동을 벌이려던 남한 선교사 5명이 남한 정부의 강력한 촉구로 2일 남한으로 귀국했습니다. 남한당국은 이들이 또 다시 이라크에 들어갈 것을 우려해 이들에 대한 출국 금지조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남한 외교통상부는 2일 기자설명회를 갖고 지난달 28일 선교활동을 위해 이라크로 무단 입국을 시도했던 남한 선교사 5명이 남한정부의 강력한 권고와 설득으로 무사히 귀국했다고 밝혔습니다.

남자3명과 여자 2명으로 구성된 이 선교단은 지난4월 이라크 무장단체에 납치됐다 풀려났던 남한 목사 7명과도 함께 활동했던 사람들로 당시 이라크에서 활동한 적도 있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외교통상부 측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달 28일 시리아에서 항공편으로 이라크 바그다드로 입국했으나, 비자가 없다는 이유로 입국을 거부당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이들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택시를 이용해 요르단 국경을 넘어 이라크에 도착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바그다드 인근에 있는 모술 지역에 도착한 이들은 이 지역에서 선교활동을 벌일 예정 이였으나 지역의 치안이 상당히 위험하다는 이라크 목회자의 경고로 택시에서 내리지도 못한 체 바그다드로 돌아갔다고 합니다.

바그다드에 도착한 이들은 호텔에 투숙하려고 시도했으나 호텔 주인들은 만약 한국인들을 호텔에 받아들인다면 테러리스트 들이 투숙객은 물론 호텔주인도 그냥 두지 않을 것이라며 이들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와 관련해 남한 외교부 당국자는 한국인들의 투숙을 거부할 정도로 한국에 대한 위협분위기가 강한 것이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 특별히 한국인들에 대한 인식이 나쁘다는 근거는 없지만, 전반적으로 테러단체들이 남한을 테러대상국으로 지목하고 있어 이라크 현지 호텔 운영자들이 조심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결국 세 곳의 호텔에서 숙박을 거절당한 이들은 네 번째 들른 호텔에서 방을 잡아 투숙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이들이 방을 잡은 지 2-3시간 뒤 요르단 주재 한국대사관은 남한 선교사들의 무단 입국에 대한 정보를 전해 받고, 이를 주 이라크 대사관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라크 주재 한국 대사관 직원들은 즉각 이들을 방문해 이들을 대사관으로 옮기고 31일 요르단을 통해 남한으로 귀국시켰다고 합니다.

남한 외교통상부의 이준규 재외국민영사국장은 이번사건에 대해 정부가 재외국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노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개인행동을 일일이 규제하기가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지의 상황이 이러한 우리 국민이 무단으로 들어가고자 하는 것을 다 막을 수 없다 하는 것이 판명된 것이다.”

외교통상부는 또 이들 선교사들의 행동이 남한정부의 재외국민보호 노력을 무색하게 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남한정부는 이번사건을 무사히 마무리 할 수 있게 되어 다행스럽게 생각하면서도 또 이러한 일들이 재발 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라 법무부등 관계부처와의 협의를 거쳐 이들에 대한 출국금지 조치를 검토 중에 있다고 남한 언론들은 전했습니다.

한편 이라크 입국을 시도했던 선교사들은 현지의 안전에 대해 전혀 인식 없이 행동한 무모한 짓 이였다고 남한의 일부 언론들은 지적했습니다. 이들 선교사들 중 한명은 이라크에서 금기하고 있는 빨간색 옷을 입고 있었으며, 선교사들은 모두 순교자를 자처하는 목걸이에 ‘우리가 죽으면 시신을 실험용으로 써 달라’라는 내용을 적어놓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남한으로 귀국한 이들 선교사들은 남한 SBS방송과의 회견에서 남한정부가 자신들을 귀국 시킨 것은 과잉조치라며 반발했습니다.

미국의 뉴욕타임즈는 이들 선교사 사건과 관련해 남한 교회들이 전 세계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선교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1일 보도했습니다. 이 신문은 남한의 기독교인들이 전 세계에서 가장 개종하기 힘들다는 중동 이슬람 지역에 까지 들어가 열성적인 선교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 신문은 또 남한이 해외에 파견한 선교사들의 수가 1만 2천여 명이 이르고 있으며 이는 미국 다음으로 많은 숫자라고 덧붙였습니다.

이규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