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평균지능지수 세계 3위, 국민소득과는 별 상관없어

최근 유럽의 연구팀이 세계 185개국의 국민평균 지능지수를 조사한 결과, 북한은 지능지수 105로 세계 3위를 차지했습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국민의 지능과 국내총생산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으나, 북한과 같이 억압적인 정치체제를 가진 국가의 경우는 예외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능지수와 국민소득 간 높은 상관관계

영국 얼스터 대학(University of Ulster)의 리처드 린(Richard Lynn) 심리학 교수와 헬싱키대학의 타투 반하넨(Tatu Vanhanen) 정치학 교수가 이끈 연구팀은 세계 185개국 국민평균 지능지수를 조사한 결과, 홍콩과 남한이 지능지수 107과 106으로 각각 세계 1, 2위, 북한은 1점차로 세계 3위를 차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연구팀은 특히 조사대상 세계 60개국의 지능지수와 국민소득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혀 큰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국민평균 지능지수가 97이상인 나라는 33개국인데, 이 중 구매력을 기준으로 일인당 국민소득(Purchasing power parity)이 미화 1만 달러 이하인 나라는 북한, 중국, 그리고 몽골뿐입니다. 지능지수 100으로 세계 13위를 기록한 중국은 사회주의 체제를 채택했기 때문에 경제발전이 늦어졌다고 연구팀은 분석했습니다.

지능지수 97이상 33개국 중 국민소득 만 달러 이하는 북한, 중국, 몽골 뿐

북한과 공동으로 세계 3위를 차지한 일본의 경우 지능지수가 105, 1인당 국민소득은 28,000달러, 또 세계 28위인 캐나다의 경우 지능지수가 97, 국민소득은 29,700달러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남한의 1인당 국민소득은 구매력 평가기준으로 2003년 현재 미화 17,700달러였는데, 남한의 국민소득이 세계 2위의 높은 지능지수에 미치지 못한 것은 남한이 경제개발을 늦게 시작한 것이 주원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세계 3위인 북한의 경우, 1인당 국민소득이 고작 1,000달러로 나타나, 국민평균 지능지수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와 관련, 미국의 지능지수 전문가인 델라웨어대학(University of Delaware)의 린다 고트프레드슨(Linda Gottfredson) 교수는 28일 자유아시아방송과의 회견에서 이번 연구는 비록 높은 지능지수가 높은 국민소득을 창출한다고 증명하지는 않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결과는 상당히 타당한 가설 (plausible hypothesis)이라고 말했습니다.

“They don't prove that higher IQs create (higher gross domestic product in a country), but it is certainly a plausible hypothesis.”

북한에선 국민의 지능과 재능을 쓸 기회 박탈해

고트프레드슨 교수는 연구결과에 완전히 동의하면서, 북한과 같이 억압적인 정치제체를 가진 국가는 국민들이 지능과 재능을 쓸 기회를 박탈해, 결국 경제생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You may, like in North Korea, inhibit the ability of population to use its talents, and to produce great economic activities."

"You may, like in North Korea, inhibit the ability of population to use its talents, and to produce great economic activities."

그는 연구결과를 인용하면서, 미국의 경우 지능지수가 97로 세계 21위였지만, 일인당 국민소득은 37,800달러였다면서, 이는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하에서 각 개인들이 자기가 원하는 직업을 구할 수 있고, 열심히 노력하면 그에 상응하는 결과를 얻기 때문에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었다고 덧붙였습니다. 따라서 북한은 상당히 유능한 인적자원을 가지고 있지만, 이를 제대로 활용 못하는 우를 범하고 있다고 고트프레드슨 교수는 지적했습니다.

장명화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