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북한을 이란 핵문제와 함께 미국과 중국의 임박한 도전(immediate challenges)이라며 북한 문제에 대한 미중 양국 간 조율(coordination)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설리번 보좌관은 16일 미 민간연구기관인 브루킹스연구소가 주최한 화상간담회에 참석해 전날 있었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주석 간 화상정상회담 내용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그는 양국 정상이 회담에서 북한을 비롯해 이란과 아프가니스탄 등에 대한 지역적 도전들에 대한 견해를 나눴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이번 미중 화상정상회담 후 다음 단계(steps)가 무엇이냐는 사회자의 질의에 양국 간에 다뤄야 할 사안을 3가지로 분류했습니다.
첫째는 기후변화, 공중보건 등 양국의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사안, 둘째는 이란 핵문제와 북한 등 미중 양국이 직면한 임박한 도전(immediate challenges), 셋째는 대만 등 미중 간 입장이 다른 사안들이 있다는 겁니다.
설리번 보좌관은 "우리는 북한이 일련의 (미사일) 시험들을 하는 것을 봐왔다"고 지적하면서도 거듭 대북대화 의지를 밝혔습니다.
설리번 보좌관: 북한이 똑같이 준비돼있다면 미국은 북한과의 선의에 기초한 외교에 관여할 준비가 돼있다는 것을 알려왔습니다. (United States indicated we are prepared to engage good faith in diplomacy if North Korea's prepared to do the same)
그는 그러면서 북한 문제에 대한 미중 양국 간 조율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So coordination around that issue is also very important.)
이에 대해 게리 세이모어 전 백악관 대량살상무기정책 조정관은 1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 문제를 두고 미중 간 제한적인 조율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양국 모두 한반도에서 마찰(conflict) 위험을 줄이기 위해 북한의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을 제한하려는 외교적 노력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하지만 미중 양국은 대북제재 완화시점 등 몇가지 전술적인 사안에서 입장이 다르고 전략적인 목적도 다르다고 그는 지적했습니다.
중국은 한미동맹 종식과 주한미군 철군을 염두에 둔 한반도 비핵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지만 미국은 북한을 비핵화하면서 한미동맹을 유지하려고 한다는 게 세이모어 전 조정관의 분석입니다.
미 허드슨연구소의 패트릭 크로닌 아시아안보 석좌는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 문제를 두고 중국과의 조율이 가능한지 알기 위해 중국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를 이행하고 북한에 불법적으로 들어가는 물품과 자금을 단속하도록 요구해봐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중국 당국이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채택을 찬성한 2017년을 제외하고 북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쪽은 아니었다고 지적했습니다. (China has not been part of the solution.)
기자 이상민,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