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9일 북한 인권 상황을 비공개로 논의할 계획인 가운데, 회의를 전후해 언론 발언을 통해 일부 내용이 공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심재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관계자는 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회의가 열리기 전과 후에 언론에 발언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remarks will be made to press before and after the meeting.)
‘회의에서 어떤 제안을 할 것인지’ 묻는 질문에 대해 이 관계자는 “기타 안건(AOB: Any Other Business) 회의는 비공개 세션이기 때문에 특별히 공유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답했습니다.
이번 회의가 비공개로 진행되는 것에 대해 국제 인권단체들은 ‘북한에 잘못된 메세지를 줄 수 있다’며 공개로 전환할 것으로 촉구하고 있습니다.
휴먼라이츠워치(Human Rights Watch) 엘레인 피어슨(Elaine Pearson) 아시아 국장(Asia Director)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2018년 이후 북한 인권을 주제로 공개 회의를 진행하지 않는 것을 지적하면서, 공개회의를 강력히 촉구하는 성명을 7일 발표했습니다.(However, the council has failed to hold additional debates since 2018 and has instead only held closed consultations under the council’s agenda item of “Any Other Business” AOB)
피어슨 국장은 AOB 형식의 비공개 회의로는 북한에서 발생하고 있는 인권유린과 안보위협을 다루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밝혔습니다.(Debates during the council’s AOB framework, while welcome, are not sufficient to address the gravity and scale of the human rights abuses taking place in DPRK and the threat they pose to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 인권 상황을 논의하는 것은 이번이 7번째입니다.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 최종보고서가 나온 2014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첫 공개회의를 열었고, 2017년까지 매년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2018년 공개회의는 정족수 부족으로 무산됐고, 2019년엔 회의가 소집되지 않았습니다.
2020년, 회의는 소집됐지만 중국과 러시아가 공개에 반대하면서 비공개 방식으로 전환됐습니다.
이후 2021년과 올해까지 3년 연속으로 비공개 방식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기자 심재훈, 에디터 이상민,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