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EA 사무총장 “북 영변 외 핵시설도 가동 조짐”

앵커 :라페엘 그로시(Rafael Grossi)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북한이 핵개발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며 영변 외 북한 내 다른 핵시설들의 가동 조짐도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서혜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미 민간연구기관 스팀슨센터 (Stimson Center)가 21일 주최한 화상 대담에서 북한은 상상가능한 모든 영역에서 핵개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원자로는 재가동됐고 플루토늄을 분리하고 우라늄 농축도 다시 진행 중일 것”이라며 “북한의 (영변 외) 다른 핵시설들도 실제 가동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로시 사무총장 :굉장히 많은 (핵)활동을 포착하고 있습니다. 2009년과 비교해 핵무기 개발에 있어 활동이 많아졌고 여러 지역으로 확대됐습니다. (What we see is a lot of activity. And what is relevant is to see that compared with 2009, this program has spawned in activity-wise, geographically-wise into the country.)

그로시 사무총장은 또 지난 18일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 만나 북핵 문제를 논의했다며 조 바이든 미 행정부가 평양과 어떤 형태로든 협의를 재개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음을 밝혔다고 전했습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이어 취임 초부터 IAEA 이사회에서 북핵 문제를 뒷전으로 미루려는 것 같아 이를 경고음으로 받아들이고 더 명확하고 정교한 보고서 작성에 매진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또 2009년 IAEA 사찰단이 북한에서 철수한 후 북한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지만 “사찰단이 북한에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며 “IAEA의 북한 복귀는 갑자기 가능할 수 있고 검증 및 핵안전조처를 위해 사찰단이 직면할 문제가 상당할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현재 북한의 핵 활동과 관련해 가장 우려하는 점을 묻는 질문에 그는 “IAEA 사무총장으로서가 아닌 세계 시민으로서 북한과 진행 중인 외교적 절차가 없는 것”을 가장 우려한다고 답했습니다.

그는 북한 정부에 대한 조언을 묻는 질문에 “우리(IAEA)를 북한에 들여보내 달라는 것”이라고 답하며 북한 핵시설 사찰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기자 서혜준, 에디터 양성원, 웹팀 최병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