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정권 수립 75주년’ 대규모 열병식…올해만 세번째

0:00 / 0:00

앵커 :북한이 정권 수립일인 '9 ·9절' 75주년을 맞아 평양에서 대규모 열병식을 개최했습니다. 자민 앤더슨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오늘(9일) 0시부터 평양 김일성 광장에서 열병식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 열병식은 ‘민간무력 열병식’으로 정규군이 아닌 한국의 예비군 격인 노농적위군이나 경찰 격인 사회안전군 위주로 진행된다고 북한 당국은 지난 8월 예고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비롯한 전략무기는 등장하지 않았을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의 열병식은 지난 2월 건군절과 7월 27일 전승절, 즉 6 ·25전쟁 정전협정기념일에 이어 올해 들어서만 이례적으로 세 번째 열렸습니다.

열병식에 김정은 총비서가 참석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앞서 열린 올해 두 차례 열병식에서 연설을 하지 않은 김 총비서의 연설 여부가 주목됩니다.

앞서 중국은 열병식 참석을 위해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이며 국무원 부총리인 류궈중을 단장으로하는 대표단을 파견했습니다.

러시아 대표단의 방북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러시아 군대 아카데미 협주단이 북한을 방문했습니다.

한편 열병식 직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10일부터 13일까지 열리는 동방경제포럼을 계기로 김정은 총비서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만남을 가질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회담이 열린다면 북한은 우크라이나 전쟁 무기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러시아에 무기를 공급하고, 러시아는 그 대가로 북한에 첨단 핵 기술을 이전하는 문제가 논의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됩니다.

이에 대해 지난 6일 존 커비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전략소통조정관은 기자회견에서 북한을 향해 무기 거래 방식으로 침략 전쟁에 동참하지 말라면서 만약 그렇지 않을 경우 국제사회로부터 그만한 반격이 있을 거라고 경고했습니다.

커비 조정관 :우리는 북한이 그러지 않기를 계속 촉구하고 있습니다. (만약 그럴 경우) 미국 뿐 아니라 국제사회로부터 북한에 대한 반격이 있을 것입니다.

에디터 박정우,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