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정부가 북한 등 적대국의 기술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공동 대응팀을 구성했습니다. 미국의 민감한 기술이 적에게 이전되지 않도록 하고, 독재국가들이 이를 활용해 인권유린을 하지 못하게 막겠다는 취지입니다. 박재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법무부와 상무부는 16일 보도자료를 내고 북한, 러시아, 중국 등‘적대국의 기술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팀’(Disruptive Technology Strike Force Joint Venture)을 발족했습니다.
법무부 국가안보국과 상무부 산업안전국이 주도하는 이번 대응팀에는 미 연방수사국(FBI)과 국토안보수사국(HSI) 등의 인사들로 구성된 정부의 전문가들이 미 전역 12개 대도시에 총집결돼 관련 업무를 관장할 예정입니다.
대응팀은 미국의 슈퍼컴퓨팅, 양자컴퓨팅 및 인공지능, 생물 과학과 관련된 기술 등 민감한 기술이 적대국들에 이전되지 못하도록 막는 게 주 업무입니다.
이 기술들은 상업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지만, 적대국들은 이 기술을 활용해 군사, 정보 또는 미국을 대상으로 파괴적인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리사 모나코 법무부 차관은 이날 “오늘날 독재자들은 미국의 가장 혁신적인 기술의 획득, 사용 및 남용을 통해 전술적 이점을 추구하고 군사력을 강화하고, 인권 유린을 가능하게 하는 대규모 감시 프로그램을 지원한다”라며“대응팀은 실시간 정보 시스템과 신기술 데이터 분석을 사용해 적대국에 반격하고, 미래의 국가 안보 위협에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Today, autocrats seek tactical advantage through the acquisition, use, and abuse of America’s most innovative technology. They use it to enhance their military capabilities, support mass surveillance programs that enable human rights abuses and all together undermine our values. Using real-time intelligence and 21st century data analytics, the Disruptive Technology Strike Force will bring together the Justice and Commerce Departments’ expertise to strike back against adversaries trying to siphon off our most advanced technology, and to attack tomorrow’s national security threats today.)
북한의 경우 이 기술을 합법적으로 획득하려는 시도는 여의치 않겠지만,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을 통해 이를 탈취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미 버지니아주에 본부를 둔 사이버 보안회사 맨디언트(Mandiant)의 마이클 반하트(Michael Barnhart) 수석분석가(principal analyst)는 17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보낸 전자우편에서“현재로서 북한 (해킹 조직들)의 관심은 의약품, 암호화폐, 무기·위성 정보에만 집중돼 있어 AI와 양자 컴퓨팅에 대한 북한의 수요는 적다”면서도 "그러나 미래에는 목표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미국 연방의회와 주정부에서는 북한 등 적대국들이 미국 안보에 위협을 끼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관련 법안을 발의하고, 통과시키고 있습니다.
최근 연방 의회와 버지니아, 미주리주 주의회에서 적대국들의 농지 취득 금지법안이 발의됐고, 또 연방의회에선 적대국들이 미국의 통신 관련 사회기반시설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막기 위한 법안도 재발의됐습니다.
기자 박재우,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