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국무부 부장관으로 과거 북핵 문제에 깊숙이 관여했던 웬디 셔먼 전 국무부 정무차관이 지명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공식 임명될 경우 조 바이든 차기 행정부에서 핵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지에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의 바이든 차기 행정부의 국무부 부장관에 웬디 셔먼 전 국무부 정무차관이 지명될 예정이라고 미국의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 및 로이터통신 등이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5일 보도했습니다.
셔먼 전 차관은 지난 2011년에서 2015년 버락 오바마 행정부 당시 정무차관을 지내며 2015년 이란 핵합의를 이끈 주역으로,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는 대북정책조정관을 지낸 미국 내 대표적인 한반도 전문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바이든 인수위원회는 이르면 이번주 국무부 부장관직을 포함한 주요 외교·안보 인사를 추가적으로 발표할 것이라고 폴리티코는 전했습니다.
셔먼 전 차관이 공식 지명된다면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 지명자와 함께 대북정책을 포함한 차기 행정부의 외교정책을 주도하게 됩니다.
특히 북핵 문제와 관련해, 셔먼 전 차관은 지난해 8월 아스펜안보포럼에서 북핵 문제가 이란 핵문제보다 훨씬 더 어려운 문제로 한국, 중국 등과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셔먼 전 차관: 북한이 핵무기와 이를 운반할 수 있는 수단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심지어 이란 핵문제보다 더 어렵습니다. 김정은이 핵무기를 사용하는 자살행위를 하지 않기를 희망하지만 북한은 분명히 다양한 억지력을 확보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에반스 리비어 전 국무부 동아태 담당 수석부차관보는 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차기 바이든 행정부 대북정책에 대한 함의와 관련해, 과거 1990년대 북한을 담당했던 대부분의 미국 인사들은 대북협상 경험에서 어려운 교훈을 많이 얻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교훈은 북한과의 모든 합의를 검증가능케 하고 북한 의도를 지속적으로 의심하며 북한과의 관계가 신뢰에 기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며, “셔먼 전 차관이 협상한 이란 핵합의(JCPOA) 문서 역시 과거 미북협상의 쓰린 교훈을 반영한 것을 알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미북 비핵화 협상이 재개될 경우 누가 미국 측 협상대표를 맡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다른 사안 중에서도 특히 북한 및 이란 문제에 있어서는 셔먼 전 차관이 미국의 정책을 주도하는 핵심적 인물이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마크 피츠패트릭 전 국무부 비확산 담당 부차관보 역시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셔먼 전 차관은 미국의 가장 어려운 적국인 북한 및 이란과 협상에 나섰던 인물로 다양한 방면의 외교 경험이 풍부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아울러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스티븐 비건 부장관 겸 대북협상대표는 추후 부장관으로 승진해 대북협상대표직도 겸직한 독특한 사례로, 향후 차기 행정부에서는 북한이 내실있는 협상 재개를 위한 신호를 보낼 경우 대북정책특별대표를 별도로 임명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피츠패트릭 전 부차관보: 셔먼 전 차관이 처음부터 미국 측 (대북) 협상대표는 아닐 것입니다. 다만, 미북 협상이 재개되고 더 높은 직급의 협상대표 임명이 필요할 경우는 가능할 것으로 봅니다.
앞서 바이든 인수위원회는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 제이크 설리번 전 부통령 국가안보보좌관, 국무장관에 토니 블링컨 전 국무부 부장관, 국방장관에 로이드 오스틴 전 미 중부사령관, 국방부 부장관에는 캐슬린 힉스 전 국방부 정책담당 수석부차관을 지명해 구체적인 주요 외교·안보 인사의 윤곽이 점차 드러나고 있습니다.
한편, 지난 관례대로라면 국무·국방장관을 포함한 내각(Cabinet) 구성원이 이달 20일 대통령 취임식에 맞춰 취임할 수 있도록 상원 인준청문회가 신속히 열릴 것으로 전망되지만, 이보다 하위직급에 대한 인준청문회는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리비어 전 수석부차관보와 피츠패트릭 전 부차관보가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