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러시아 따라 ‘핵 사용문턱’ 낮출 가능성”

서울-한도형 hando@rfa.org
2024.12.09
“북, 러시아 따라 ‘핵 사용문턱’ 낮출 가능성” 북한이 발사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포-19형'.
/연합뉴스

앵커: 북한이 최근 새로운 핵 교리를 채택한 러시아의 뒤를 이어 핵 사용의 문턱을 더 낮출 가능성이 있다는 전문가 분석이 나왔습니다. 서울에서 한도형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달 19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러시아의 핵 사용문턱을 낮춘 핵무기 사용 규정 즉 핵 교리 개정안에 공식 서명했습니다.

 

새로운 러시아의 핵 교리는 ‘러시아에 대한 미사일, 항공기, 무인기(드론)의 대규모 발사를 시작한다는 신뢰할 만한 정보가 있으면 핵무기 사용을 고려한다며 핵 선제타격에 대한 대상을 확대했습니다.

 

또 비핵보유국이더라도 핵보유국 지원을 받아 러시아를 공격할 경우 공동 공격으로 간주해 핵무기로 보복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박춘우 전 동양대 군사학과 교수는 9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통화에서러시아, 북한의 핵 교리가 계속해서 공세적으로 바뀌는 상황으로 진단했습니다.

 

박 전 교수는 이와 함께 “지난 2022년 제정된 핵무력 정책법에 담긴 북한의 핵 교리는 러시아의 핵 교리를 모방한 것이면서 동시에 (비핵국가인) 한국을 향해서도 유사시 핵공격을 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북한은 2022 9국가지도부나 국가핵무력지휘기구에 대한 적대세력의 핵 및 비핵공격 감행 혹은 임박등 다섯 가지 상황에 대해 선제 핵공격이 가능하다는핵무력 정책법을 제정했고, 1년 후인 2023 9월 이를 헌법에 명시한 바 있습니다

 

그러면서 박 전 교수는 “지난 11월 러시아가 핵 문턱을 낮추면서, 북한의 핵 문턱이 다시 한 번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박 전 교수는 북한의 핵 교리가 수정될 경우에는 구체적으로 북한이 제시한 선제 핵공격이 가능한 다섯 번째 조건, 기타 국가의 존립과 인민의 생명 안전에 파국적인 위기를 초래하는 사태에 대한 기준이 더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박춘우 전 동양대 군사학과 교수] 북한도 이미 낮아져 있지만 거기(러시아 핵 교리 수정)에 따라서 더 낮아질 수 있는 가능성은 충분히 열려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다섯 번째 조건 있지 않습니까? 두리뭉실하게 일반론적으로 조건을 내세우고 있는 다섯 번째 조건이 조금 더 여기서 문턱이 더 낮춰질 수 있는 가능성 있는 조건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박 전 교수는 북한이 향후 보다 공세적으로 핵 교리를 수정한 이후에도 실제 핵을 사용하는 데에는 여전히 부담을 느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핵무기를 사용하는 순간 한미의 김정은 정권 종말 시도, 북한 지도부에 대한 타격 시도가 뒤따르리라는 것을 북한도 잘 알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nuclear-facility.jpg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달 핵무기연구소와 무기급 핵물질 생산시설을 현지지도하고 있다. /연합뉴스

 

<관련 기사>

“북, 이중적 핵교리 지속 전망...한국에만 선제공격 위협

한국 “, 핵사용 가능성 시사로 평화 위협

 

한국 정보기관인 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INSS)의 김보미 부연구위원도 2러시아 핵독트린(핵 교리) 개정의 함의와 파급영향보고서에서 러시아의 새로운 핵 교리가 북한의 핵 정책에 일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습니다.

 

김 부연구위원은 “러시아의 새로운 핵 교리가 북한의 공세적 핵 교리와 핵무력 고도화 방침을 정당화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김 부연구위원은 또 “러시아가 핵무기 사용의 가능성을 낮춘다면 북한도 비슷한 상황에서 핵 사용 기준을 낮추는 것을 얼마든지 정당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고북한은 이미 2022 9월 핵무력 정책법에 핵 교리를 지속적으로 개정할 의향을 표명한 바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2022 9월 제정된 북한의 핵무력 정책법 9 2항은핵무력이 자기의 사명을 믿음직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각이한 정황에 따르는 핵무기 사용전략을 정기적으로 갱신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북한의 핵 교리가 향후에도 수정될 수 있음을 암시하는 대목으로 해석됩니다.

 

김 부연구위원은 “러시아의 공세적인 핵 교리 발표가 한반도 안보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며 미국 확장억제의 지속적인 강화, 한미일 군사협력 확대, 북러 핵위협에 대한 국제공조 강화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한도형입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편집 김상일

댓글 달기

아래 양식으로 댓글을 작성해 주십시오. Comments are mod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