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이 22일 "비상한 각오로 북한의 도발에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날 박 대통령은 북한의 김정은 제1위원장을 별도 직함을 붙이지 않고 호칭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북한이 변하지 않으면 안 되도록 국제사회와 함께 필요한 조치를 강구해 나갈 것”이라는 입장을 다시 한 번 강조했습니다.
박 대통령은 22일 청와대에서 수석 비서관 회의를 주재하며 “지금 북한의 도발로부터 안보와 국민안전을 지키기 위해 이전과는 다른 비상한 각오로 대처하고 있다”고도 말했습니다.
이날 발언 내용은 지난주 국회 연설 때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차이점은 이날 박 대통령이 김정은 제1위원장을 별도 직함을 붙이지 않고 “김정은”이라고만 호칭했다는 데 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김정은이 남한에 대해 대테러 사이버 테러에 대해 역량을 결집하라고 지시한 것에서 보듯이 북한의 테러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각별히 유의해야 하겠습니다.
박 대통령은 지난 16일 국회 연설을 포함해 예전에는 “김정은 정권” 또는 “김정은 체제”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김정은의 직함을 쓰지 않은 경우는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처럼 이름만 언급한 것은 이례적입니다.
북한도 최근들어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비난 수위를 높이고 있어 주목됩니다. 노동신문은 21일짜 신문의 한 면을 통째로 할애해 박 대통령을 향해 입에 담기힘든 막말을 쏟아낸 바 있습니다.
이에 남측 통일부는 ‘정부입장’ 자료를 내고 “국가안보와 국민 안위, 한반도의 진정한 평화를 위한 남한 정부의 결정을 (북한이) 저급한 언사로 왜곡 비난하고 더욱이 국가원수를 저열한 인신공격성 막말로 비난한 것에 강한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남북관계는 북한의 핵실험에 이은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응으로 남한이 최근 개성공단의 운영을 전면 중단하면서 급격히 악화되고 있습니다.
통일부는 “북한이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극단적인 도발을 거듭하고, 수소폭탄 실험까지 공언하는 상황에서 개성공단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에 악용되지 않게 하려고 전면 중단을 결정한 것”이라고 ‘정부입장’ 자료에서 다시 한 번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