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북 핵개발 물자 불법조달 대응해야”

0:00 / 0:00

앵커 : 윤석열 한국 대통령은 북한이 불법적으로 핵·미사일 개발 관련 물자를 조달하는 것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사회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가 30일 제주도에서 개최한 확산방지구상, 즉 PSI 20주년 고위급 회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 보낸 축하 메시지를 통해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를 위한 국제 규범에 도전하는 국가들이 늘어나고 있다며 이러한 무기가 잘못된 이들의 손에 들어갈 위험이 지속되는 것에 대해 우려했습니다.

그러면서 한 국가의 행동만으로는 이 도전에 대응할 수 없다고 말하며 새롭게 부상하는 확산 위협에 주목하면서 PSI를 더욱 확대하고 성장시키자고 제언했습니다.

윤석열 한국 대통령은 회의에 보낸 영상 메시지에서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에도 불구하고 불법적으로 핵·미사일 개발에 필요한 물자와 자금을 계속 조달하고 있다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이 더욱 굳건해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 정부는 인류의 자유, 평화, 번영에 기여하고 국제법과 규범에 입각한 국제질서를 수호하기 위해 파트너국들과 적극 협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 준비와 관련 이도훈 한국 외교부 2차관은 이날 개회사에서 이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며 국제사회가 북한에 이러한 불법 행위를 자제할 것을 강력히 촉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북한은 불법적인 해상환적, 사이버 활동, 해외노동자를 통한 수익 등 다양한 제재 회피 수단을 통해 자신들의 대량살상무기 프로그램에 자금을 지속 공급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국 외교부에 따르면 이날 58개국이 동참한 가운데 채택된 공동성명에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 위배되는 핵·미사일 개발 활동이 대량살상무기로 인한 확산 위협 중 하나임이 명시됐습니다. 암호화폐, 무형기술이전 등 새로운 확산 관행에 대응해야 할 필요성도 강조됐습니다.

PSI 공동성명 최초로 이 같은 내용을 명문화해 북한이 핵·미사일 개발을 지속하고 암호화폐 탈취를 통해 무기개발 자금을 확보하는 등의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번 회의를 계기로 한국 해군은 오는 31일 제주에서 한·미·일·호주의 함정 7척이 참가하는 다국간 해양차단훈련 ‘이스턴 엔데버 23 (EASTERN ENDEAVOR 23)’을 주관합니다.

PSI는 핵무기 등 대량살상무기(WMD)와 운반수단, 관련 물품 등의 불법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지난 2003년 미국 주도로 출범한 국제협력체제로서 현재 106개국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고위급 회의는 PSI 출범 후 5년마다 개최되어왔으며 아시아에서 열리기는 올해 한국에서가 처음입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