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분수 형태’ 북 발사체...전문가 “위성 소형화 능력 한계”

0:00 / 0:00

앵커: 북한의 발사체 '천리마 1형'은 머리 부분이 몸체보다 큰 가분수 형태입니다. 한국의 전문가들은 북한이 위성을 소형화하는 능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서울에서 한도형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관영매체는 1일 지난달 31일 군사 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실은 위성 운반 로켓 ‘천리마 1형’의 발사 장면을 공개했습니다.

북한 관영매체가 공개한 발사 장면을 보면 총 3단으로 구성된 발사체 중에서 머리 부분인 페어링(덮개) 부분은 몸체보다 큰 가분수 형태였습니다.

이와 같은 ‘천리마 1형’의 모습은 1단에서 3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다가 위성탑재부가 가장 작은 구조였던 과거 북한의 광명성호와 외관이 확연히 달랐습니다.

이에 대해 차두현 아산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통화에서 “이번에는 북한이 제대로 된 위성을 올려보려고 한 것 같다”며 가분수 형태는 “고성능 위성을 소형화하는 능력의 한계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국의 정보기관인 국가정보원은 5월 31일 국회 정보위 비공개 현안보고에서 ‘만리경 1호’를 길이 1.3m, 무게 300kg 급의 위성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정원은 북한이 광명성 4호를 쐈던 지난 2016년 2월에는 탑재체의 무게가 200kg으로 추정된다고 국회 정보위에 비공개 보고한 바 있습니다.

차두현 아산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의 말입니다.

차두현 아산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기존에는 가분수형이 아니었잖아요. 아주 단순한 위성이 올라간 거예요. (이번에는) 그러니까 제대로 된 위성을 올려보려고 한 것 같고요. 가분수형으로 된 이유 중에 하나는 정말 위성을 발사하려고 그랬으면 고성능의 위성을 소형화하는 능력 자체의 한계 때문에 그럴 거예요.

그러면서 차두현 아산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이번 발사 실패로 북한의 위성(만리경 1호)도 함께 소실됐을 것”이라며 “북한이 제대로 된 위성을 쏘고자 한다면 재발사까지 몇 개월 더 걸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차 수석연구위원은 “만약 북한이 국제사회에 통보해 놓은 6월 11일 이전에 재발사를 한다면 그 발사체에는 위성이 없을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습니다.

북한이 처음부터 위성을 여러 개 만들어놓지 않은 이상 11일까지 새로운 위성을 만들기에는 시간이 너무 촉박하다는 것입니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도 이날 북한의 발사체가 가분수 형태를 보인 것과 관련해 “북한이 (위성을) 정교하게 소형화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김 교수는 또 이번에는 북한이 위성을 실험하려는 의도가 확실히 있었던 것으로 바라봤습니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북한이 인공위성 탑재는 한 것이라고 봐야 되고 다만 이제 그 탄두가 부피가 큰 것은 아무래도 소형 위성이 좀 더 정교하게 소형화되지 못한 부분으로 볼 수도 있겠습니다.

선전을 위해 의도적으로 상단 부분을 키웠을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됐습니다.

장영근 한국국가전략연구원 미사일센터장은 “가분수 형태의 위성발사체 형상은 보통 대형 발사체가 취하는 특성”인데 “현재 북한 신형 발사체의 로켓 추진시스템은 다수의 중대형 엔진을 클러스터링(결합)하는 대형 발사체로 분류하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장 센터장은 그러면서 “북한의 대형 페어링(덮개)은 신형 발사체의 발사용량 능력을 과대하게 선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키운 형상이 확실해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번에 공개한 북한의 발사에 이러한 형상의 페어링(덮개)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장영근 센터장은 “향후 여러 기의 다중 위성을 동시에 발사할 수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고 하면 그 의미는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다만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은 “위성에게 여유 공간을 주기 위해 페어링(덮개) 부분을 크게 만들 수 있다”며 일반적인 현상으로 간주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명예연구위원은 “중국에서는 아주 보편적인 현상”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명예연구위원:페어링이 그렇게 큰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에요. 위성의 여유 공간을 주기 위해서 페어링을 크게 만들 수가 있어요. 중국은 아주 굉장히 보편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요.

이밖에 이 명예연구위원은 이번 북한의 발사체 실패가 북한의 발표처럼 2단 엔진의 신뢰성 문제라고 한다면 “쉽게 해결하기 어렵다”며 “올해 안에 극복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