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박근혜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적 행태와 관련해 한국 정부가 "강력하게 대응해야 하겠지만,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가 작동되도록 하는 노력도 멈춰서는 안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류길재 통일부장관도 "아무리 상황이 엄중해도 남북관계를 개선하는 데 필요한 대화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11일 새 정부의 첫번째 국무회의를 주재하면서 최근 지속되는 북한의 도발 위협과 관련해 “국민의 안전을 각별히 유의해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서해 연평도 주민과 개성공단 체류 국민의 안전 문제를 “소홀함이 없도록 잘 챙겨달라”고 관련 부처에 지시했습니다.
박 대통령은 또 류길재 통일부 장관에게 “새 정부의 핵심 기조 중 하나가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기반 조성”임을 강조했습니다. 청와대 기자실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발언 내용을 전하고 있는 윤창중 대변인입니다.
윤창중 청와대 대변인: 북한의 도발에 대해서는 우리가 강력하게 대응해야 하겠지만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가 작동되도록 하는 노력도 멈춰서는 안 될 것입니다.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는 박근혜 정부가 구상하는 대북정책의 골격입니다. ‘프로세스’는 ‘과정’을 뜻합니다. 이 구상에는 남북 간 신뢰를 쌓는 과정을 거치면서 북한의 비핵화가 진전되면 국제사회까지 참여하는 대규모 경제협력을 추진한다는 계획이 담겨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북한의 도발에는 강력하게 대응하겠지만 신뢰 구축을 통한 남북관계의 변화를 모색하는 정책을 포기하지는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해석했습니다.
이날 취임식을 가진 류길재 통일부 장관도 남북이 "약속 이행을 통해 서로를 인정하는 바탕이 재확인돼야 한다”면서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남북 간에 대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류 장관은 "남북이 과거 합의한 약속은 존중돼야 하고 준수돼야 한다"면서 7·4 남북공동성명과 남북기본합의서, 그리고 6·15 공동선언과 10·4 선언을 언급했습니다.
그러면서 류 장관은 "정치적 상황과 상관없이 영유아와 취약계층에 대한 대북 인도적 지원이 이뤄지도록 검토해 나가겠다"면서 "북한 역시 이산가족, 납북자, 국군포로 문제 등 인도적 현안을 해결하려는 한국의 노력에 적극 호응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